3일 중국 베이징 톈안문 광장에서 열린 ‘중국 인민의 항일전쟁 승리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군악대가 연주를 하고 있다. 신화통신/연합뉴스
박 대통령· 푸틴 대통령,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등 참석
장쩌민·후진타오 등 전직 지도부도 대거 참석
병력 1만2천여명 참가, 첨단무기 대거 공개
시진핑 “인민해방군 병력 30만명 감축하겠다” 선언
장쩌민·후진타오 등 전직 지도부도 대거 참석
병력 1만2천여명 참가, 첨단무기 대거 공개
시진핑 “인민해방군 병력 30만명 감축하겠다” 선언
중국이 3일 수도 베이징에서 ‘중국 인민의 항일전쟁 승리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식과 사상 최대 규모의 군사 퍼레이드(열병식)를 개최했다.
이를 통해 항일전쟁 승리의 의미를 되새기는 동시에 첨단 무기를 통해 군사력을 과시하면서 주요 2개국(G-2)으로 올라선 중국의 ‘글로벌 파워’를 대내외적으로 천명했다.
시진핑 국가주석 체제의 최대 정치 이벤트인 열병식은 오전 10시(현지시각·한국시각 오전 11시) 베이징 톈안먼(천안문)과 톈안먼 광장에서 막을 올렸다.
톈안먼 성루에는 시 주석과 함께 박근혜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북한의 최룡해 노동당 비서 등 정상급 외빈 50여명과 각국 외교사절 등이 올랐다.
장쩌민,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전 총리 등전 직 지도부와 시 주석, 리 총리, 장더장 전인대 상무위원장 등 현직 지도부 7명도 모두 참석했다.
시 주석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순으로 외빈들이 섰고 시 주석의 왼쪽에는 장쩌민, 후진타오 등 국내 지도자들이 자리했다.
리커창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께 개막사를 통해 전승절 기념식과 열병식의 공식 개막을 선언했다.
열병식은 70발의 예포 발사와 함께 국기게양식으로 막을 올렸다.
국기 게양을 맡은 호위부대는 중국 국가가 울려퍼지는 가운데 톈안먼 광장의 인민영웅기념비에서 게양대까지 정확하게 121보를 걸어 국기를 게양했다.
시 주석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중국 인민해방군 병력 30만명을 감축하겠다고 전격적으로 선언했다.
시 주석은 중국이 항일전쟁에서 겪은 엄청난 피해와 희생을 부각시키며 평화의 소중함과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시 주석이 중국의 ‘국방력 강화’가 평화적인 목적에서 이뤄지는 것임을 강조하면서 주변국들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짙은색 중산복 차림의 시 주석은 이후 무개차에 올라 부대원들을 사열했다.
시 주석이 “동지들 안녕하세요, 수고 많습니다”라고 인사하자 열병대원들은 “인민을 위해 봉사하겠다”며 충성을 다짐했다.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는 이번 열병식에는 군 병력 1만2천여명과 500여대의 무기 장비, 200여대의 군용기가 총동원됐다.
공개된 전체 중국산 무기 가운데 84%가 처음으로 외부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중국의 이같은 행보에는 ‘군사굴기(군사적으로 우뚝 일어섬)’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미국과 일본의 대중(對中) 포위망 구축 시도에 반격 능력을 과시하겠다는 의도도 담겨 있다.
열병식은 ‘진입’, ‘행진’, ‘열병’, ‘분열’, ‘해산’ 등 5단계로 약 70분 정도가 소요됐으며 베이징 상공에서는 첨단 군용기들이 화려한 에어쇼도 펼쳐졌다.
이번 열병식에는 항전노병 부대, 항전영웅모범 부대 등이 대거 참가해 항일전쟁 승리의 의미도 강조됐다.
러시아, 몽골 등 11개국 병력이 분열식에 참여하며 한국을 비롯한 14개국 참관단도 열병식을 지켜봤다.
열병식 전 과정은 관영 중국중앙(CC)TV를 통해 생중계되고 각종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로 전송됐다.
톈안먼 광장의 국기게양대 양쪽에는 시민관람대가 설치돼 1만9천여명의 중국인이 현장에서 열병식을 지켜봤다.
연합뉴스
이슈중국 열병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