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0% 쑥쑥…100억$ 세계1위 눈앞
지재권 관심, 마케팅·컨설팅 창업 붐
지재권 관심, 마케팅·컨설팅 창업 붐
“이번 국경절 연휴는 영화 산업계에 황금의 시간이었다.”
베이징 <신경보>는 “10월1일부터 일주일 동안 이어진 중국의 국경절 연휴가 중국 영화 흥행수입의 역사를 새로 썼다”고 최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국가신문출판방송총국 영화자금 판공실 통계를 인용해 “지난 국경절 연휴 동안 중국 전체 영화 흥행수입이 18억5000만위안(3300억원)을 기록해 국경절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 국경절 연휴 기간 흥행수입 10억8400만위안에 견줘 71%나 늘어난 액수다. 이 신문은 “영화 산업계에 국경절 기간은 마치 금맥이 널린 광산을 방불케 했다”고 전했다.
국경절 대목에 힘입어 이미 중국 영화 흥행수입은 연말이 되기도 전에 지난해 전체 흥행수입과 관객 수를 넘어섰다. 중국 영화업계 쪽은 “지난해 흥행수입은 296억3900만위안(5조3400억원), 관객 수는 8억3000만명이었다”며 “올해 흥행수입은 400억위안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영화시장 규모가 2017년까지 연간 100억달러에 달해 세계 최대 영화시장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 영화시장은 매년 30% 이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인민일보>는 “2014년 중국은 388편의 영화를 상영해 흥행수익이 47억달러, 성장률이 36%에 달했다”며 “이는 전세계 영화 흥행수익 375억달러의 13%를 차지하는 수치”라고 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은 인도, 일본, 한국과 함께 전세계적으로 미국과 경쟁을 벌이며 국산영화 흥행수익이 절반이 넘은 4개국 중 하나”라고 전했다.
중국 영화시장의 팽창은 중산층의 확산과 관객들의 다양한 취향이 결합된 결과물이다. 중국 신세대들에게 영화는 문화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고 정부도 영화 산업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중국 스크린 수는 2010년 6256개에서 2014년 2만4317개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중국에서는 여전히 한해에 34편의 외국 영화만 상영하도록 제한한 스크린 쿼터제를 실시하며 자국 영화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이런 지원 속에 지난 8월 개봉했던 중국 영화 판타지 애니메이션 <착요기>(몬스터 헌트)는 9월 중순까지 24억2900만위안을 벌어들이며 역대 중국 박스오피스 순위 1위에 올랐다. 중국 영화가 1위를 차지한 것은 <착요기>가 처음이다.
영화 산업이 흥행 기록을 새로 써가면서 영화 마케팅 분야 등에서 새로운 창업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창업은 리커창 총리가 중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과 청년 취업을 위해 독려하고 있는 분야다.
영화 마케팅과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벤처기업인 에이비디(ABD)아이멍오락은 영화 <소시대>(小時代)의 마케팅을 맡아 17억위안의 흥행수입을 올리는 데 이바지했다. 이 회사는 주요 관객층이 될 만한 9만명의 연령, 성별, 취향 등을 분석한 뒤 줄거리와 배경 등을 세밀하게 컨설팅했다. 이 회사의 왕징 부총재는 “과거엔 영화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만들어 흥행에 실패할 위험이 높았다”며 “그러나 우리는 목표 관객의 취향을 데이터로 분석해 비교적 정확하게 흥행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인터넷을 통한 영화 마케팅 업체인 베이징 우셴쯔짜이(无限自在)방송공사는 지난달 중국 투자설명회를 개최하고 영화 마케팅 업체로는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중국의 영화전문 컨설팅업체 이언은 “중국 영화에서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 비용은 올해 8억위안에 달할 것이며 이는 전체 마케팅 비용의 21.1%를 차지할 것”이라고 발전 가능성을 점쳤다.
아울러 중국에서는 그동안 희박했던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도 향상되는 분위기다. 중국 국가저작권국은 “지난해 114편의 인터넷 소설이 영화사 등에 저작권료를 받고 판매됐다”며 “이 가운데는 1000만위안 이상을 받은 작품도 있다”고 발표했다.
<신경보>는 “영화 산업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창업 회사들이 앞다퉈 영화판에 뛰어들어 제작, 홍보, 흥행 분석 등 여러 방면에서 새로운 영화 산업의 개혁을 이끌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