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GDP 재평가했더니 20% 더 증가
위안화 절상·민영 서비스업 실질 반영 영향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지난해 세계 7위에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를 제치고 4위로 훌쩍 뛰어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오는 20일 ‘경제 센서스’ 결과 보고를 통해 이런 중국 경제의 급팽창을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국내총생산 규모가 이처럼 급증하게 된 것은 지속적인 고도성장과 함께, 지금까지 저평가돼 온 민영 서비스업 등에 대한 재평가가 작용한 결과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3일 중국 관리의 말을 따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특히 중국이 올해 처음으로 ‘경제 센서스’를 실시해 음식점, 미용실, 가라오케 등 지난해까지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민영 서비스업 분야의 성장을 실질적으로 반영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지난해 경제 규모는 1조6600억달러보다 3000억달러가 늘어나 2조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재평가될 전망이다. 3000억달러는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의 20%에 이르는 수치로, 터키의 국내총생산 규모와 비슷하다.
중국 경제 규모의 이런 재평가에 대해 전문가들은 “예상했던 일”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짐 오닐 영국 골드만삭스 수석 연구원은 “중국이 경제 센서스를 통해 저평가된 분야를 수정하지 않더라도 최근의 고도성장을 감안하면 지난해 이미 국내총생산 규모에서 영국을 약간 앞지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계은행의 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영국의 국내총생산은 2조1400억달러로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둥타오 홍콩 크레디트 스위스 퍼스트 보스톤(CSFB) 연구원은 “중국의 통계자료가 정확하지 않은 데다 중국의 많은 서비스업체가 ‘절세’를 위해 실제 수입을 감추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국내총생산은 매우 저평가돼왔다”고 인정하면서도 “중국이 영국을 따라잡으려면 앞으로 1년은 더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조금 다른 견해를 내놓았다.
중국 경제에 대한 재평가는, 중국 경제가 이제 투자에 덜 의존하면서 소비에 의해 굴러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분석했다. 송궈핑 베이징대 교수는 “이번 재평가 결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국 경제에서 소비의 비중이 커지고, 투자의 기여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데 있다”고 말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올해 처음 진행한 경제 센서스는 지난 6일과 14일 두 차례에 걸쳐 보고서를 냈으며, 오는 20일 최종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