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중국, 영국 제치고 세계 4위 경제대국

등록 2005-12-14 18:32

지난해 GDP 재평가했더니 20% 더 증가
위안화 절상·민영 서비스업 실질 반영 영향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지난해 세계 7위에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를 제치고 4위로 훌쩍 뛰어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오는 20일 ‘경제 센서스’ 결과 보고를 통해 이런 중국 경제의 급팽창을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국내총생산 규모가 이처럼 급증하게 된 것은 지속적인 고도성장과 함께, 지금까지 저평가돼 온 민영 서비스업 등에 대한 재평가가 작용한 결과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3일 중국 관리의 말을 따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특히 중국이 올해 처음으로 ‘경제 센서스’를 실시해 음식점, 미용실, 가라오케 등 지난해까지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민영 서비스업 분야의 성장을 실질적으로 반영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지난해 경제 규모는 1조6600억달러보다 3000억달러가 늘어나 2조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재평가될 전망이다. 3000억달러는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의 20%에 이르는 수치로, 터키의 국내총생산 규모와 비슷하다.

중국 경제 규모의 이런 재평가에 대해 전문가들은 “예상했던 일”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짐 오닐 영국 골드만삭스 수석 연구원은 “중국이 경제 센서스를 통해 저평가된 분야를 수정하지 않더라도 최근의 고도성장을 감안하면 지난해 이미 국내총생산 규모에서 영국을 약간 앞지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계은행의 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영국의 국내총생산은 2조1400억달러로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둥타오 홍콩 크레디트 스위스 퍼스트 보스톤(CSFB) 연구원은 “중국의 통계자료가 정확하지 않은 데다 중국의 많은 서비스업체가 ‘절세’를 위해 실제 수입을 감추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국내총생산은 매우 저평가돼왔다”고 인정하면서도 “중국이 영국을 따라잡으려면 앞으로 1년은 더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조금 다른 견해를 내놓았다.

중국 경제에 대한 재평가는, 중국 경제가 이제 투자에 덜 의존하면서 소비에 의해 굴러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분석했다. 송궈핑 베이징대 교수는 “이번 재평가 결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국 경제에서 소비의 비중이 커지고, 투자의 기여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데 있다”고 말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올해 처음 진행한 경제 센서스는 지난 6일과 14일 두 차례에 걸쳐 보고서를 냈으며, 오는 20일 최종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천둥치 국가발전개혁위 부원장
“내년엔 성장 둔화될 것”

천둥치 국가발전개혁위 부원장
천둥치 국가발전개혁위 부원장

천둥치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거시경제연구원 부원장은 13일 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 베이징사무소가 마련한 세미나에서 “내년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올해보다는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당국이 과잉 투자를 억제하려 하지만 소비는 장려하고 있는데다 중서부와 동북지역의 투자는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성장률이 크게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 과열 방지를 위한 ‘거시경제 조정정책’은 언제까지 지속할 전망인가.

=거시경제 조정은 자동차 운전과 같다. 목표 지점에 도착할 때까지 해야 한다. 초기 2~3년엔 조정 강도를 높여야 하지만, 목표 지점에 근접하면 속도를 늦출 것이다. 여기에 수도·전기·석유 등 가격정책을 결합하면 경기 침체를 막으면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003년부터 9%대 성장을 이어왔다. 올해도 예상치가 9.4%인데, 인플레이션 우려는?

=중국은 노동력 가격이 낮고, 저축률이 높다. 중국 전체 수준을 보면 아직 개발 여지가 많다. 따라서 낮은 물가 수준을 유지하는 게 가능하다.

-기업들이 감내할 수 있는 위안화 절상 폭은?

=확정해서 말할 수 없다. 위안화 절상 폭에 불확실성이 있는 게 투기자본 통제에 유리하다. 말하자면 “위안화 가치의 불확실성으로 투기자본의 불확실성에 대응함으로써 시장의 확실성을 확보하려 하는 것”이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가 빈발하고 있는데.

=우리도 저가 경쟁은 장기적으로 지양하려 한다. 반덤핑 문제는 국가 개입을 줄이고 시장에 맡기는 쪽으로 대응해 가고 있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