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가 중국 관영매체 5곳을 ‘외국정부 산하기관’으로 지정했다. 뉴스매체가 미-중 갈등의 새로운 전선으로 떠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 관영매체 5곳을 ‘외국정부 산하기관’으로 전격 지정했다. 이들 매체가 중국 정부의 직접 통제를 받는 ‘선전·선동기관’이란 이유에서다. 미-중 갈등의 또 다른 전선이 만들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19일 <로이터 통신> 등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대상 매체는 중국 관영 <신화통신>을 비롯해 <중국국제텔레비전>(CGTN), <중국국제라디오>(CRI), <차이나 데일리>와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배급사인 하이톈개발 등 5곳이다. 외국정부 산하기관으로 지정되면, 미국 주재 각국 외교공관과 마찬가지로 소속 직원과 부동산을 포함한 보유 자산 내용을 미 국무부에 신고해야 한다. 또 부동산 임대나 매매 때는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로이터>는 국무부 고위 관계자 2명의 말을 따 “관영매체에 대한 중국 당국의 통제가 심해졌고,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 훨씬 공세적으로 친중 선전물을 전파하고 있다”며 “관영매체는 중국 공산당의 실질적인 선전·선동기구가 됐다”고 전했다.
국무부의 이번 조처는 미국 행정부와 의회는 물론 동맹국 사이에서도 중국이 자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적이란 인식이 확산된 데 따른 것이란 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지난 15일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해 중국을 러시아와 이란에 견주며, “중국이 유럽과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7일엔 공화당 소속 상·하원 의원 35명이 윌리엄 바 법무장관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중국 관영 영자 신문 <차이나 데일리>를 외국정부 산하기관으로 지정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미국 주재 외국 매체를 외국정부 산하기관으로 지정하는 제도는 1938년 독일 나치 정권의 선전·선동을 막기 위해 처음 도입됐다.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무역, 기술, 국방, 교육 등의 분야에 이어 뉴스매체가 미-중 간 또 다른 전선이 됐다”고 짚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