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중국 베이징의 정보기술 단지인 중관촌 입구를 공안들이 지키고 있다. 베이징/EPA 연합뉴스
중국의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가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 회의에서 지난 2월 전격 연기된 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등 양회 개최와 관련된 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이 높아, 양회 역시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23일 <북경일보> 등 보도를 종합하면, 제13기 전인대 상무위 17차 회의는 26~29일 나흘간 베이징에서 열린다. 웨중밍 전인대 상무위 법제위원회 대변인은 전날 전인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위챗) 계정을 통해 회의 진행과 관련해 “2월24일 열린 상무위 16차 회의는 베이징에 있는 위원과 베이징 이외 지역에 있는 위원을 화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전인대 상무위가 화상회의로 열린 것은 사상 처음이다.
웨 대변인은 화상회의 개최를 두고 “특수한 상황에서 획기적인 방식으로 방역 요구와 기준을 충족시키는 한편 전인대의 효율적인 업무도 보장했다”며 “이는 헌법과 법률의 원칙과 정신에도 부합하는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26~29일 열리는 상무위 17차 회의도 코로나19 예방·통제 조처를 충실히 이행하는 가운데 실제 상황과 요구에 맞게 상임위의 업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실상 17차 회의도 화상회의로 진행될 것임을 내비친 셈이다.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리샤오둥 중국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 전 대표의 말을 따 “중국은 수천명이 참석하는 회상회의를 원만하게 개최할 수 있는 기술 수준을 갖추고 있다”며 “해커가 뚫을 수 없는 암호화 기술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전인대 상무위(위원 175명)는 물론 전인대(대표 2980명)와 정협(대표 2158명)까지 화상회의를 통해 개최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말이다.
전인대와 정협 쪽은 지난 2월 말 각각 상임위를 열어 해마다 3월 초 열리는 양회를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무기한 연기했다. 코로나19 상황 안정화 속에 그간 미뤄졌던 지방 양회가 속속 개최되면서, 중앙 양회는 5월 말 또는 6월 초 열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