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 구글이 중국시장을 잡는다는 명분하에 중국 당국의 검열을 받아들이며 무릎을 꿇었다.
구글은 24일 중국내 인터넷 사업 허가를 위해 중국어판 구글의 주소를 `www.google.cn'으로 바꾸면서 중국내 법규 위반을 피한다는 명분으로 당국의 검색 심사제도 등 언론자유 제한조치와 타협했다고 홍콩 언론이 25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기준에 따르면 검색엔진 이용자는 검색결과에 대해 먼저 '방화장성'이라는 검열 시스템을 거친 뒤 검색결과를 열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국어판 구글에선 대만독립, 티베트독립, 톈안먼사태, 파룬궁, 민주, 자유 등 중국 정부가 민감하게 생각하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엔 검색이 이뤄지지 않거나 페이지가 열리지 않는다.
또 중국 당국이 '불온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웹사이트도 봉쇄되고 구글을 이용한 블로그나 e메일도 당국이 불온하다고 판단하면 삭제될 수 있다.
구글은 지난 2000년부터 미국내 네트워크와 서버를 이용해 중문판 검색엔진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나 중국 네티즌이 이를 접속하고 이용하는 데는 상당한 제약이 따랐다.
구글은 세계시장 확대를 위해 1억1천만명의 인터넷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을 주 공략대상으로 선정하고 중국 직접 진출을 모색해왔다.
구글이 "나쁜 일을 하지말자(Don't be evil)"이라는 창업 사시마저 위배한채 중국 당국의 정보심사제도에 무릎을 꿇자 전세계 인권단체와 언론이 비난하고 나섰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이날 '자체검열하는 중문판 구글'이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구글의 결정이 수치스럽다"며 구글은 언론자유의 원칙을 훼손한 위선자로 "오늘은 중국 언론자유에 암운을 드리운 날"이라고 비난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도 "이번 중국의 심사기구에 굴복한 일은 장차 외국기업이 중국 인터넷시장에 진출할 때마다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주호 특파원 jooho@yna.co.kr (홍콩=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