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야후에 이어 유럽의 인터넷 업체 '스카이프(Skype)'도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 시스템에 굴복했다.
홍콩 명보의 2일자 보도에 따르면, 스카이프는 최근 홍콩 tom.com을 통해 중국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법륜공, 달라이 라마 등 중국 정부가 '유해하다'고 판단하는 정보들을 걸러내는데 동의했다.
룩셈부르크에 본부를 둔 스카이프는 무료 국제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국적 인터넷 음성통화 업체로 전세계에 5천400만명의 회원이 있는 급성장중인 업체다.
스카이프가 중국내 유선전화 사업을 위협함에 따라 중국 전신당국은 중국에서 스카이프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중국내 사업에 제한을 둘 움직임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인 구글도 지난달 24일 중국내 인터넷 사업허가를 위해 당국의 검열 시스템을 받아들이고 정치적으로 민감한 특정용어나 사이트 검색을 제한하기로 해 국제사회의 비난을 사고 있다.
한편 미국의 비즈니스 위크(BW)는 중국의 인터넷 감독 부서가 인터넷 업체들에 대해 수백페이지에 달하는 금지 용어 리스트를 통보하고 있으며 그 내용도 수시로 바뀐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광둥성 산웨이시에서 무장경찰의 시위대 발포사건이 발생한 뒤 곧장 관련 어휘가 이 리스트에 포함돼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이 차단됐다.
이밖에 마이크로소프트 산하 MSN는 최근 중국정부의 압력으로 뉴욕타임스 베이징 주재원 자오징의 기사를 삭제하기도 했다. 자오징은 당시 인터넷에 공산당 중앙선전부의 신경보 탄압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야후도 지난해 9월 해외 민주화운동 뉼에 e메일을 보낸 중국 기자 스타오(誹)의 개인정보를 중국 당국에 제공, 스 기자의 체포를 도운 일로 인권뉼의 엄청난 비난을 받은 바 있다. 네트워크 장비업체인 시스코는 중국 정부에 검열시스템 및 웹사이트 차단 장비와 기술을 판매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미 의회는 내달 15일 중국의 인터넷 검열 조치에 협조한 구글 등 미국 IT 업계 대표들을 불러 청문회를 열고 중국시장에 진입하면서 겪은 문제들에 대해 청취할 예정이다. 정주호 특파원 jooho@yna.co.kr (홍콩=연합뉴스)
야후도 지난해 9월 해외 민주화운동 뉼에 e메일을 보낸 중국 기자 스타오(誹)의 개인정보를 중국 당국에 제공, 스 기자의 체포를 도운 일로 인권뉼의 엄청난 비난을 받은 바 있다. 네트워크 장비업체인 시스코는 중국 정부에 검열시스템 및 웹사이트 차단 장비와 기술을 판매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미 의회는 내달 15일 중국의 인터넷 검열 조치에 협조한 구글 등 미국 IT 업계 대표들을 불러 청문회를 열고 중국시장에 진입하면서 겪은 문제들에 대해 청취할 예정이다. 정주호 특파원 jooho@yna.co.kr (홍콩=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