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 수치 올라가도
1인당GDP·가처분소득 떨어져
“다양한 보조지표 활용 고민”
1인당GDP·가처분소득 떨어져
“다양한 보조지표 활용 고민”
영국 통계청이 국민의 ‘경제적 웰빙’을 가늠하기 위해서는 국내총생산(GDP·지디피) 지표는 크게 부족하고 다양한 보조적 지표들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보고서를 7일 내놓았다. 이런 보조 지표들을 활용할 경우 영국 보수당 정부가 긴축정책의 성과이자 경제회복세의 증거로 내세우는 영국의 지디피 호조는 의미가 상당히 퇴색된다.
이날 <가디언>은 영국 통계청의 <국민의 웰빙, ‘경제적 웰빙’을 측정하기>라는 보고서 내용을 전하며 “인구 증가 규모를 고려하면 영국 경제는 2008~2009년 금융위기 때 잃은 경제적 기반을 거의 회복하지 못했다”고 짚었다. 영국 지디피 지표는 지난해 금융위기 발생 직전인 2008년 수준을 거의 회복했다.
하지만 인구 증가를 반영한 1인당 지디피는 최하점을 찍은 2009년 수준을 여전히 맴돌고 있다. 경제가 언뜻 회복세로 보이지만, 개개인들이 이를 체감하긴 힘들다는 얘기다.
영국 통계청은 “지디피가 올해 2008년 수준을 넘어서겠지만, 1인당 지디피는 위기 이전보다 8%가량 낮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관은 또 “그나마 1인당 지디피는 2009년 이래 비슷한 수준에서 정체해 있지만, 1인당 국민순가처분소득은 조금씩 떨어지는 추세”라면서 “1인당 국민순가처분소득은 2008년 2만3000파운드(4019만원)에서 2012년에 2만파운드(3495만원)까지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게다가 실질가계소득 중간값과 1인당 실질가계가처분소득 등의 지표도 위기 이래 하향세를 되돌리지 못했다. 이는 지디피가 장밋빛 경제 전망을 보여주는 것과 달리 국민 개개인이 체감하는 살림살이는 오히려 조금씩 나빠지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이에 따라 영국 통계청은 지디피 지표가 중요하지만 한계가 상당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1인당 국민순가처분소득을 비롯해 7가지 다른 지표들을 보완적으로 활용할 것을 공개적으로 제안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이런 생각은 경제전문가들한테는 흔했지만, 영국의 국가 통계기관이 직접 나서서 지디피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관점을 제시한 것은 처음”이라고 평가했다. 프랑스에서도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이 2008년 재임 당시에 지디피 지표와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에 심각한 괴리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경제 실적과 사회 진보의 계측을 위한 위원회’(CMEPSP)를 설립해 지디피의 한계와 추가 지표 개발을 요청했던 전례가 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