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국제무대서 존재감 확보 ‘분석’
1일 추산 36억원 참전비도 부담
아사드에 평화협상 압박 노린듯
철군·평화회담 잘 될지는 미지수
백악관 “푸틴과 다음 조처 논의”
1일 추산 36억원 참전비도 부담
아사드에 평화협상 압박 노린듯
철군·평화회담 잘 될지는 미지수
백악관 “푸틴과 다음 조처 논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4일 시리아 주둔 러시아 주력군에 철수 명령을 내렸다. 바샤르 아사드 정권의 붕괴를 저지하고 국제무대에서 충분히 영향력을 과시했다는 판단 아래 출구전략 실행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군이 시리아 참전 목표를 대체로 달성했고 평화회담의 기초를 놨다. 15일부터 주요 병력을 철수하라’고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군의 철군 발표는 참전 다섯달여 만에 나왔다. 푸틴 대통령은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에게 “이제부터는 시리아 문제를 푸는 평화 논의에 힘을 기울이라”고 주문했다. 러시아 국영방송은 15일 러시아 공군기 일부가 시리아를 떠나기 시작하는 장면을 보도했다. 러시아는 그러나 방공을 포함한 효율적인 안보를 위해 최대 사정거리 400㎞의 S-400 지대공미사일은 현지에 유지할 것이라고 <스푸트니크> 뉴스가 전했다.
러시아군은 테러집단인 이슬람국가(IS) 격퇴를 명분삼아 지난해 9월30일 시리아 내전에 전격 참전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이슬람국가보다는 친러 아사드 정권을 위협하는 반군 세력 격퇴에 공을 들였다. 대규모 공군력을 동원해 반군 거점들을 재탈환하며 궁지에 몰린 아사드 정권을 지탱했다.
전문가들은 푸틴 대통령이 시리아 내전 개입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분석한다. 알렉세이 마카르킨 러시아 정치기술연구소 부소장은 <뉴욕 타임스>에 “러시아는 아사드 정권을 떠받침으로써 중동지역에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따돌림당했던 국제무대에서 존재감을 확보한 것도 성과다. 군사 평론가인 알렉산드르 골츠는 <가디언>에 “우크라이나 사태 뒤 아무도 러시아와 상대하지 않으려 했다. 그러나 푸틴은 시리아 내전 개입을 통해 최소 비용으로 서방 국가들에 러시아와 상대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고 말했다.
실리를 챙긴 푸틴은 1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작된 평화회담을 시리아에서 발을 뺄 시점으로 판단한 듯하다. 국제유가 폭락과 서방 국가들의 경제제재 속에 하루 300만달러(36억원)로 추산되는 참전비용도 부담이다. 그러나 철군과 평화회담이 순조롭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푸틴 대통령은 철군 완료 시기를 밝히지 않았고, 시리아 내 흐메이밈 공군기지와 타르투스 해군기지는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미국 백악관은 “푸틴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철군과 적대행위 중단 이행에 관한 다음 조처를 논의했다”고 밝히면서도, “러시아의 의도가 뭔지 정확히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유럽 외교관은 과거 우크라이나 평화협정 체결 뒤에도 러시아 지원을 받았던 반군이 전투를 계속한 것을 언급하며 “러시아는 과거에도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말했다. 평화회담 역시 아사드 대통령의 거취 문제를 두고 의견 차이가 커 난항이 예상된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