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엘리자베스2세 여왕은 11위 그쳐
세계 '최고 갑부' 군주(君主)는 술탄 하지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이며 영국 엘리자베스2세 여왕은 재산 규모를 기준으로 11위에 그쳤다고 미국의 경제 전문잡지 포브스(19일자)가 4일 보도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최근 즉위 40년 기념식을 성대히 치른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은 220억달러(약 19조원)에 상당하는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추산됐는데 브루나이 왕실은 29대 국왕인 하사날 볼키아에 이르기까지 600년 동안이나 무슬림 왕조를 이어오고 있다.
하사날 볼키아 국왕은 총리와 국방장관, 재무장관 및 최고 종교지도자를 겸하며 브루나이를 통치하고 있다.
하사날 볼키아 국왕 다음으로 재산을 많이 가진 군주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대통령이자 아부다비 토호국왕인 셰이크 할리파 빈 자이드 알 누하얀으로 210억달러 상당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올 83세 고령인 압둘라 빈 압둘 아지즈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190억달러 상당의 재산가로 3위에 랭크됐고 UAE의 두바이 토호국 국왕인 셰이크 무하마드 빈 라시드 알 마크툼(160억달러)이 4위에 자리했다.
세계 최고 갑부인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을 제외하면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15대 부호 군주'에 이름을 올린 푸미폰 아둔야뎃 태국 국왕이 50억달러 상당의 재산가로 5위에 자리했다.
영국 엘리자베스2세 여왕은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의 36분의 1 수준인 6억달러 상당의 재산을 가져 11위에 랭크되는데 그쳤지만 여성 군주로는 최고 갑부라는 점에 위안을 삼을 수 있었다.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5대 부호 군주 리스트 가운데 6명이 '오일 머니'로 주머니를 불린 중동지역 군주였고 최연소자는 올해 39세인 스와질랜드의 음스와티3세 국왕(2억달러), 유일한 총각은 '플레이보이'로 명성이 자자한 모나코의 알베르2세 왕자(12억달러)였다. 미 MSNBC 인터넷판은 포브스 기사를 분석, 이들 15명의 갑부 군주 재산을 모두 합치면 무려 950억달러에 이르는데 이는 칠레 또는 뉴질랜드의 국내총생산(GDP)에 맞먹는 규모라고 전했다. 다음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5대 부호 군주 순위. 1. 술탄 하지 하사날 볼키아(브루나이.220억달러) 2. 셰이크 칼리파 빈 자이드 알 누하얀(UAE 아부다비.210억달러) 3. 압둘라 빈 압둘 아지즈(사우디.190억달러) 4. 셰이크 무하마드 빈 라시드 알 마크툼(UAE 두바이.160억달러) 5. 푸미폰 아둔야뎃(태국.50억달러) 6. 한스 아담2세(리히텐슈타인.45억달러) 7. 무하마드6세(모로코.20억달러) 8. 알베르2세 왕자(모나코.12억달러) 9. 셰이크 하마드 빈 할리파 알 타니(카타르.10억달러) 10. 카림 아가 칸 왕자(이스마일파 무슬림 지도자.10억달러) 11. 엘리자베스2세 여왕(영국.6억달러) 12. 셰이크 사바 알 사바(쿠웨이트.5억달러) 13.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오만.5억달러) 14. 베아트릭스 여왕(네덜란드.3억달러) 15. 음스와티3세(스와질랜드.2억달러) 김영묵 기자 econ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영국 엘리자베스2세 여왕은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의 36분의 1 수준인 6억달러 상당의 재산을 가져 11위에 랭크되는데 그쳤지만 여성 군주로는 최고 갑부라는 점에 위안을 삼을 수 있었다.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5대 부호 군주 리스트 가운데 6명이 '오일 머니'로 주머니를 불린 중동지역 군주였고 최연소자는 올해 39세인 스와질랜드의 음스와티3세 국왕(2억달러), 유일한 총각은 '플레이보이'로 명성이 자자한 모나코의 알베르2세 왕자(12억달러)였다. 미 MSNBC 인터넷판은 포브스 기사를 분석, 이들 15명의 갑부 군주 재산을 모두 합치면 무려 950억달러에 이르는데 이는 칠레 또는 뉴질랜드의 국내총생산(GDP)에 맞먹는 규모라고 전했다. 다음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5대 부호 군주 순위. 1. 술탄 하지 하사날 볼키아(브루나이.220억달러) 2. 셰이크 칼리파 빈 자이드 알 누하얀(UAE 아부다비.210억달러) 3. 압둘라 빈 압둘 아지즈(사우디.190억달러) 4. 셰이크 무하마드 빈 라시드 알 마크툼(UAE 두바이.160억달러) 5. 푸미폰 아둔야뎃(태국.50억달러) 6. 한스 아담2세(리히텐슈타인.45억달러) 7. 무하마드6세(모로코.20억달러) 8. 알베르2세 왕자(모나코.12억달러) 9. 셰이크 하마드 빈 할리파 알 타니(카타르.10억달러) 10. 카림 아가 칸 왕자(이스마일파 무슬림 지도자.10억달러) 11. 엘리자베스2세 여왕(영국.6억달러) 12. 셰이크 사바 알 사바(쿠웨이트.5억달러) 13.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오만.5억달러) 14. 베아트릭스 여왕(네덜란드.3억달러) 15. 음스와티3세(스와질랜드.2억달러) 김영묵 기자 econ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