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 국가안보위원회 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알자지라> 방송 화면 갈무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개전 이후 처음 공개 연설을 통해 자신이 일으킨 전쟁을 정당화하며 전쟁을 지속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게 단독회담을 제안하며 굴복하지 않겠다고 맞섰다.
푸틴 대통령은 3일 텔레비전으로 중계된 국가안보위원회 회의 개막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에서 군사 작전은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다. 모든 임무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신나치’들을 뿌리뽑고 있으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하나의 민족이라는 신념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쟁에서 결코 물러나거나 쉽게 타협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날 연설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남부의 거점 도시 헤르손을 점령한 뒤 이뤄졌다. 개전 8일 만에 의미 있는 군사적 성과를 거둔 뒤 전세계적인 비난에도 자신이 내린 결정을 정당화하고 나선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이뤄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통화에서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무장집단의 전투요원들에 대한 비타협적인 전투를 지속할 것”이라며 타협을 거부했다. 프랑스 엘리제궁은 이날 회담 결과를 공개하며 90분간 이뤄진 전화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이 마크롱 대통령에게 키이우(키예프)가 러시아가 내건 조건을 수용하기를 거부해 자신이 전쟁을 지속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마크롱 대통령과 통화에서 러시아가 철군을 하려면 △러시아의 안보 우려가 무조건 존중되고 △(2014년 3월 합병한) 크림반도가 러시아의 영토로 인정받으며 △우크라이나 정부가 비나치화·비무장화되고 중립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가 이 조건을 수용하지 않아 전쟁을 지속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를 들이댄 것이다. 엘리제궁은 “최악의 상황이 다가오고 있다. (푸틴은) 모든 쪽으로 갈 준비가 됐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외교적 혹은 군사적 수단으로 완전히 통제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우려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물러나지 않겠다는 뜻을 다시 한번 밝혔다. 그는 이날 공개 연설에서 자신과 푸틴 대통령의 회담만이 “이 전쟁을 끝낼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며 단독회담을 제안했다. 하지만, “나와 함께 앉자”며 “(마크롱 대통령과 했던 지난 대면 회담 때처럼) 30m나 멀리 앉지는 말자”고 비꼬는 것을 잊지 않았다. 이어, “우리는 러시아를 공격하지 않고, 공격할 계획도 없다”며 “당신은 우리한테 무엇을 원하는 것이냐? 우리의 땅을 내버려둬라”고 말했다. 또, 러시아의 이번 침공을 막지 못하면, 다음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의 차례가 될 것이라며 유럽과 세계가 단합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한 7분 남짓의 연설에서도 국민들을 독려하며 항전 의사를 밝혔다. “그들(러시아인들)은 우리를 여러 번 파괴하고 싶어했다. 그들은 실패했다. 우크라이나인들이 겁먹고, 부숴지고, 굴복할 것이라 생각했다면, 우크라이나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것이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군을 향해선 “집으로 가서 러시아어를 하는 사람들을 지키라. 전세계를 지키지 말고 너희 나라를 지키라”고 말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