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대만이 단독 경제 협의체를 꾸려 첫 회의를 했다. 미국은 지난달 말 중국 견제를 목적으로 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를 출범시켰지만, 중국의 반발과 외연 확대 등의 이유로 대만을 넣지 않았는데 이를 보완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다.
28일 대만 <중앙통신> 등 보도를 보면, 세라 비앙키 미 무역대표부(USTR) 부대표와 덩전중 대만 경제무역협상판공실(OTN) 대표가 27일 영상으로 만나 양국의 포괄적인 경제 협력 논의체인 ‘21세기 무역에 관한 미국-대만 이니셔티브’의 첫 회의를 열었다. 애초 대만 대표단이 워싱턴으로 가 대면 회담을 할 예정이었으나, 덩 대표가 멕시코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화상 회담으로 대체됐다.
이날 양국은 4시간에 걸친 회의에서 노동·기업 시장을 개방하는 등 포괄적인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무역, 규제 관행, 농업, 반부패, 중소기업, 디지털 무역, 노동, 환경, 국영기업, 비시장 정책 등을 논의 테이블에 올려,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니셔티브는 미국이 지난달 말 출범시킨 인·태 경제 프레임워크에 대만이 끼지 못하면서 출범이 예고됐다. 미국은 중국의 반발과 이를 의식한 다른 국가들의 참여 확대를 위해 대만의 참여를 막았고, 대신 대만과 단독으로 경제 협의체를 꾸리겠다고 1일 발표했다. 인태 경제 프레임워크는 미국과 한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타이 등 13개국이 참여해 지난달 말 첫 발은 내디뎠다.
미국은 대만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고 밝히면서도 대만과의 군사, 경제 협력 방안을 지속해 왔다. 지난해 말에는 대만과 기술 무역 및 투자협력 프레임워크(TTIC)를 꾸려 반도체 산업 등의 공급망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중국은 강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달 초 이 이니셔티브와 관련해 “중국은 중국의 일부인 대만과 다른 나라 간 어떤 형태의 공식적 교류도 항상 반대한다”며 “여기에는 주권적 함의와 공식적 성격을 지닌 어떤 경제·무역 합의의 협상과 서명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