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벌써 신경전
미국, ‘국빈방문’ 요청 거절… 만찬 안하기로
미국, ‘국빈방문’ 요청 거절… 만찬 안하기로
다음달 20일로 예정된 후진타오 중국 국가 주석의 미국 방문을 앞두고 중국과 미국이 다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후 주석의 첫 미국 공식방문에 대한 워싱턴의 기류는 싸늘하다. 열광적 환영의 분위기를 찾기 어렵다. 지난 22일 스콧 매클렐런 백악관 대변인은 후 주석의 워싱턴 방문과 미-중 정상회담 개최를 짤막하게 공식 발표하면서, “주요 이견들을 푸는 데 진전을 이루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주요 이견’이란 미-중 무역불균형과 중국 위안화 절상문제, 중국의 민주주의와 자유 문제 등이다. 정상회담에 앞서 공개적으로 ‘이견’을 언급한 것은, “정상회담에서 이런 이견들이 해결되긴 어렵다”는 뜻을 외교적으로 표현한 수사로 읽힌다. 미국 외교협회(CFR)의 아시아연구 책임자 엘리자베스 이코노미는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부시 행정부가 후의 방문을 열렬히 환영할 만한 뭔가를 중국이 (정상회담) 테이블에 올려놓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후 주석 방문의 격을 둘러싼 미-중 간 갈등도 이런 기류를 반영한다. 미국은 후 주석의 숙소를 영빈관인 블레어하우스로 정하고, 정상회담에 앞서 백악관에서 의장대를 사열하도록 할 예정이다. 그러나 중국이 그렇게 원한 ‘국빈방문’은 들어주지 않았다. ‘국빈방문’의 상징인 공식 만찬 대신에, 부시 부부와 점심식사를 할 뿐이다.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미 남부 급습으로 연기됐다가 이뤄진 이번 방미는 후 주석이 권좌에 오른 뒤 첫 미국 방문이다. 이 때문에 중국 쪽은 △백악관 정원의 예포 21발 발사와 환영 의식 △백악관 타원형 회의실에서의 정상회담 △백악관 국빈만찬 등 ‘풀코스’ 국빈 예우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23일 친강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후 주석이 다음달 중순 미국을 국빈방문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중국의 이런 ‘국빈방문’ 선전에 차가운 반응을 보였다. 프레드릭 존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우리는 중국이 후 주석의 외국방문을 ‘국빈방문’이라고 부르는 걸 이해한다는 뜻을 중국 쪽에 전달했다. 그러나 (모든 국가원수의) 백악관 방문은 특별한 것이기에, 우리는 (후 주석의 이번 방문을) 국빈방문이라 부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후 주석은 첫 미국 방문에서 ‘국빈방문’의 대접을 받지 못하는 유일한 중국 국가원수일 것이라고 <아에프페(AFP)통신>은 전했다. 미 의회에선 후 주석 방미를 앞두고 긴장감마저 감돈다. 대표적 대중 강경론자인 찰스 슈머 상원의원과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지금 중국을 방문 중이다. 위안화 절상과 대미 무역역조 시정을 압박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모든 중국상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법안의 표결을 준비 중이다. 후 주석 방미를 앞둔 부시 행정부는 이 법안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지만, 일단 표결이 실시되면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상원의원들이 이 법안을 통과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미국 언론들은 내다보고 있다. 후 주석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대만 독립추진에 대한 미국의 분명한 반대 태도 표명 △대중국 수출 금지 전략 품목 완화 등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고, 부시 대통령은 △위안화 추가 평가절상 △미·중 무역역조 조정 △중국 내 종교·인권 탄압 문제 시정 등을 거론할 것으로 알려졌다. ‘예우’에 관한 합의 이상으로 정상회담의 내용 또한 매끄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워싱턴 베이징/박찬수 이상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