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는 미군 유해발굴팀 북한 철수에 이어, F-117 스텔스 전폭기 15대를 한국에 배치하고 북핵 6자 회담이 실패할 경우의 전략을 세우는 등 대북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고 27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신문은 “스텔스기 배치와 고위 행정부 관리들의 잇단 단호한 발언은 미국이 얼마나 화가 나 있는지를 북한에 알리려는 광범위한 압박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의회 증언에서, 북한의 핵 프로그램 포기를 위해 ‘어떤 방법이나 형식으로든’ 북한에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미국이 취할 수 있는 군사적 선택 방안이 별로 없다”며 “공습으로 북핵 프로그램을 제거하리란 보장이 없고, 북한의 휴전선 야포 공격은 서울에 막대한 사상자를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도 이날 미군 유해발굴 작업의 돌연 중단과 찰스 카트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총장 퇴진은 북한 정권을 더욱 고립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빌 클린턴 전임 행정부에서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낸 웬디 셔먼은 28일 “부시 행정부는 군사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선택 방안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지금 북한에 너무 혼란스럽고 혼재된 메시지를 주고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셔먼은 “6월의 한-미 정상회담을 포함해 앞으로 몇주 동안 6자 회담을 재개할 수 있는 한줄기 희망이 아직 남아 있다”고 전망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연합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