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오른쪽)와 지미 아이오빈 비츠 공동창업자가 지난해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연례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끌어안고 있다. 샌프란시스코/AP 연합뉴스
팀 쿡 최고경영자 “고객 보안 위협…미국정부 명령 거부”
애플이 테러범의 아이폰에 저장된 정보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수사당국에 협조하라는 법원의 명령을 거부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는 17일(현지시각) 애플 웹사이트에 올린 글에서 “미국 정부가 고객의 보안을 위협할 수 있는 전례 없는 조처를 취하라고 요구해 왔다”며 “앞으로 다른 사건에도 적용되는 선례가 될 수 있는 이런 명령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수사국(FBI)는 지난해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버나디노에서 총기를 난사해 14명을 살해한 테러범 사이드 파룩(28)이 사용하던 아이폰5C에 저장된 내용을 들여다 보지 못해, 테러범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과 연계를 맺고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비밀번호를 몰라 휴대전화를 들여다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아이폰은 10차례 연속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해 실패할 경우에는 저장된 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16일 연방치안판사는 연방수사국이 파룩의 아이폰에 담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애플로 하여금 “합리적인 기술 지원을 하라”고 명령했다. 여러 차례 입력한 비밀번호가 틀렸을 때 휴대전화 안의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무력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애플이 연방수사국에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이 명령은 국가 안보를 강조하는 미국 정부와 개인정보 보호를 강조하는 정보기술업계 사이에서 법원이 정부 쪽 손을 들어준 꼴이었다.
이에 대해 쿡 최고경영자는 “정부는 우리가 고객을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전시켜온 보안을 해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공의 토론이 필요하고, 우리는 고객과 시민들이 현재 무엇이 문제가 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를 바란다”며 “이번 명령은 법률적 문제의 차원을 훨씬 뛰어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