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리크스, CIA 도청 관련 문서 수천쪽 공개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스마트TV 원격 조종
CIA가 해킹하고도 다른 이들 소행처럼 흔적 남겨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미국 영사관은 ‘해킹 기지’
CIA “문서 진위 여부에 코멘트할 수 없다”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스마트TV 원격 조종
CIA가 해킹하고도 다른 이들 소행처럼 흔적 남겨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미국 영사관은 ‘해킹 기지’
CIA “문서 진위 여부에 코멘트할 수 없다”
거실에 있는 스마트텔레비전(TV)이 당신을 도청하고 있다. 심지어 텔레비전은 꺼진 상태에서도 당신을 도청한다.
상상 속 이야기가 아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우는 천사’(Weeping angel·영국 드라마 ‘닥터 후’에 나오는 외계 종족)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삼성전자 스마트티브이를 해킹해 티브이 전원이 꺼져 있을 때도 주변을 도청할 수 있다.
폭로 전문 웹사이트 위키리크스는 7일 미 중앙정보국 ‘사이버 정보센터’가 2013~2016년 사이에 작성한 8761건의 문서와 파일을 ‘금고(Vault) 7’이라는 이름으로 공개했다고 <시엔엔> 방송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이 문서들에는 중앙정보국이 전 세계인의 휴대전화와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에 몰래 침입해 사생활을 감시하고 도청하는 정교한 소프트웨어와 첨단기술에 대한 설명이 담겼다. 중앙정보국이 사이버 스파이 활동의 일환으로 구글·애플·삼성·마이크로소프트 등 정보기술 기업의 제품과 플랫폼을 무력화시켜 도청에 활용하는 기술과 도구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온라인 전화서비스 스카이프(Skype), 무선인터넷, 피디에프 파일, 심지어는 백신 프로그램을 무력화시켜 스파이 활동에 이용하는 내용도 들어있다. 더욱이 중앙정보국은 자신들이 해킹을 하고도 마치 다른 이들이 한 것처럼 흔적을 남긴다고 위키리크스는 밝혔다.
문서들에 따르면, 중앙정보국의 한 팀이 아이폰과 아이패드, 그리고 안드로이드 휴대폰 등을 원격조종할 수 있는 해킹 도구를 개발했다. 개인이 갖고 있는 휴대전화의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 정보를 얻고, 마이크로 목소리를 들으며, 위치도 추적할 수 있다. 위키리크스는 일단 휴대전화가 중앙정보국에 오염되면 중앙정보국이 대화까지 엿들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휴대전화를 통해 중앙정보국은 메시지가 암호화되기 전에 왓츠앱과 텔레그램, 시그널 등 메신저 서비스도 도청할 수 있다.
중앙정보국의 또다른 팀은 삼성전자의 스마트 티브이를 오염시키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영국 국내정보국(MI5)의 도움을 받아 개발된 ‘우는 천사’ 프로그램은 ‘위장 전원 꺼짐'(fake-off) 기술로 사람들이 티브이가 꺼져 있다고 믿고 있을 때 주변의 소리를 녹음해 이를 중앙정보국으로 전송한다.
위키리크스는 또 중앙정보국이 2014년 10월 자동차의 인터넷 시스템도 오염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미국 영사관이 ‘비밀 해킹 기지’라고 폭로했다. 이곳에 근무하는 미 국무부 직원들이 중앙정보국의 비밀 해커들이고,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스파이 활동을 맡는다는 것이다. <뉴욕 타임스>는 중앙정보국이 미국인을 표적으로 해킹 도구들을 사용한 증거는 없다고 했다.
위키리크스는 중앙정보국이 해킹을 할 경우 중앙정보국이나 미국 정부, 조력 업체들로 해킹 경로가 추적되지 않게끔 사이버 무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아예 중앙정보국의 한 부서는 해킹이 들통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러시아의 해커들이 한 것처럼 일부러 다른 이들의 흔적을 남기는 교란작전을 전담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분개’(Umbrage)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에는 러시아 등 다른 나라들이 만들어낸 악성 소프트웨어로부터 모은 사이버 공격 기술이 담겨 있었다.
위키리크스는 “이 문서들이 인가를 받지 않고 전직 미국 정부의 해커들과 계약자들에게 유포됐으며 그들 가운데 한명이 서류의 일부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뉴욕 타임스>는 정부 관리와 전 정보 관계자가 이번에 공개된 문서가 진짜 중앙정보국 문서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딘 보이드 중앙정보국 대변인은 “우리는 정보문서라고 알려진 것의 진위에 대해서는 코멘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