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건설공가 재개 결정을 보도한 <블룸버그> 통신 온라인 기사. 사진출처: 블룸버그 누리집 갈무리
원자력발전 정책을 놓고 논쟁이 이어지는 일본의 언론들은 20일 공론화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주요 뉴스로 다루며 큰 관심을 나타냈다. <도쿄신문>은 1면에 실은 ‘한국 원전 건설 재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었다”고 소개했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민주당 정권이 탈원전 정책을 결정할 때 사용한 ‘토론형 여론조사’를 한국 정부가 신고리 공사 재개 여부 결정 수단으로 채택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제로’ 방침을 채택했으나 아베 신조 정부 출범 이후 재가동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22일로 예정된 중의원 선거에서 이 문제는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앞서 문 대통령의 ‘탈핵 선언’에도 관심을 보인 바 있다.
<로이터> 통신은 공론화위의 발표를 전하며 “(원전 건설) 유예는 문 대통령이 내건 핵심 공약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 통신은 공론화위의 결과를 존중하겠다는 청와대의 입장도 전했다.
<블룸버그뉴스>는 “문 대통령이 원전 두 기의 건설을 중단한다는 자신의 정책을 뒤집었다”며 “대선 공약을 실행할 능력이 있는지 새로운 의구심이 드리웠다”고 전했다. 또 사드 배치를 놓고도 입장을 바꾼 바 있다며 “잠재적으로는 야당이 우세한 의회를 통해 기업 지배구조 개혁안을 통과시킬 수 있는 그의 능력을 손상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문 대통령이 취임 뒤 반발이 일자 공약에서 후퇴했으며, 여론 수렴과 권고안 마련을 위한 독립 위원회 설치를 지시했다며 이번 조사의 맥락을 함께 소개했다.
전정윤 기자, 도쿄/ 조기원 특파원
ggu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