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2.08 09:49
수정 : 2019.12.08 20:4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플로리다로 출발하기 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3년 간 잘 지내왔어
우리 둘 다 좋은 관계 유지 원한다고 생각”
‘연말 시한’ 압박 높이는 북한에 자제 촉구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 “비핵화, 테이블서 내려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플로리다로 출발하기 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좋은 관계를 강조하면서 “북한이 적대적으로 행동하면 나는 놀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새로운 계산법’의 시한으로 제시한 연말이 다가올수록 미국에 압박을 높여가는 가운데, 북한을 향해 ‘레드 라인’을 넘는 행동을 하지 말 것으로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로 떠나면서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떻게 북한을 협상에 다시 관여시킬 계획이냐’는 질문에 “나는 북한이 적대적으로 행동하면 놀랄 것”이라며 “나는 김정은과 매우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 우리 둘 다 그렇게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그는 내가 다가오는 선거를 치른다는 것을 안다”며 “나는 그가 그것을 방해하기를 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는 내가 3년 동안 아주 잘 지내온 사람이고, 그도 나와 매우 잘 지냈다. 그러니 앞으로 어떻게 될지 보자”면서 거듭 “나는 정말로 그가 선거를 방해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나는 그가 뭔가 일어나기를 바란다고 생각한다. 관계는 매우 좋다”면서도 “하지만 아다시피 약간의 적대감이 있다. 그에 대해선 의문이 없다”고 말했다. 또 “그와 한국의 관계가 매우 좋은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는 알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최근 북한이 각종 담화 등을 통해 ‘연말 시한’을 강조하면서 미국에 태도 변화를 요구하는 압박 수위를 높여가는 가운데 나왔다. 북한이 장거리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나 핵 실험 등 도발에 나서지 말 것을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11월 미국 대선까지 언급한 것은, 북한이 재선 도전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상황을 이용해 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압박 지렛대로 삼으려 할 가능성을 경계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좋은 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 보자”고 말해, 두 정상간의 관계가 깨져 2년 전의 적대적 상황으로 되돌아가기를 원치 않는다는 뜻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기자들과 대화 과정에서 김 위원장을 “로켓맨”이라고 하고 “필요하면 군사력을 쓸 것”이라고 했으나 이날은 자극적 표현은 자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과 한국의 관계가 아주 좋은지 모르겠다”고 한 발언도 눈길을 끈다.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한국 7일 오전)를 하고 북한 문제에 관해 얘기를 나눈 직후에 나온 발언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앞서 몇시간 전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비핵화는 협상 테이블에서 이미 내려졌다”고 밝혔다. 김 대사는 이날 성명을 내어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북한을 질식시키려는 시도에서 적대정책을 이어가고 있다”며 “미국이 추구하는 지속적이고 상당한 대화는, 국내 정치적 어젠다로서 북-미 대화를 편의주의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간벌기 속임수”라고 주장했다. 김 대사는 “우리는 지금 미국과 긴 대화를 가질 필요가 없다”며 “비핵화는 협상 테이블에서 이미 내려졌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19일 김영철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은 담화에서 미국에 적대정책 철회 전까지 비핵화 협상은 “꿈도 꾸지 말라”고 했다. 그 이튿날에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도 기자들에게 “핵 문제와 관련한 논의는 앞으로 협상탁에서 내려지지 않았나 하는 게 제 생각”이라고 말했다. 지난 3일 리태성 외무성 미국 담당 부상은 담화에서 “남은 것은 미국의 선택이며, 다가오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무엇으로 선정하는가는 전적으로 미국의 결심에 달려있다”고 밝혔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