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 백악관에서 열린 이민자 관련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문제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왼쪽)이 총괄하도록 맡겼다. 워싱턴/UPI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정치·사회적 쟁점으로 급부상한 중남미 이민자 유입 문제 해결을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게 맡겼다고 <뉴욕 타임스> 등이 24일 보도했다.
미국은 최근 보호자 없이 멕시코 국경을 넘어 들어오는 미성년자들이 급증하면서 이들의 처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게다가 이 문제는 중남미 관련국의 협력도 끌어내야 하는 사안이어서, 상당한 중책인 동시에 부담도 크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중남미 국가들의 상황을 개선시킴으로써 이민자 유입을 줄이기 위한 행정부의 대응책을 해리스 부통령이 맡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특히 멕시코 바로 아래 위치한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등 3국에 대한 자금 지원 계획을 관장하게 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단한 7억달러 규모의 3국 원조금을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해리스 부통령은 이민자 관련 고위 대책회의에 앞서 “이제 사람들이 국경으로 오지 말아야 하며 우리는 법을 집행할 것”이라면서도 “사람들이 이민 행렬에 합류하게 만드는 근본 원인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자메이카 출신 아버지와 인도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이민자의 자녀라는 점에서 이 문제를 담당할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중남미 국가들을 지원해도 무단 입국자가 줄지 않을 경우 정치적 부담도 피하기 어렵다. 바이든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부통령으로 있던 2014~2015년 보호자 없이 국경을 넘는 중남미 미성년자 문제를 맡은 바 있지만, 무단 입국 시도자들을 줄이는 데 실패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한편, 국경의 구금시설에서 일시 수용되어 있는 중남미 미성년자는 23일 현재 4960명에 이른다. 미국은 미성년 무단 입국자의 경우 강제 송환하지 않고 교육·여가시설을 갖춘 곳에서 보호하는데, 최근엔 수용시설 부족으로 열악한 상황에서 평균 136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가 전했다.
공화당은 미성년 입국자 문제가 부각되자, 바이든 행정부의 이민 정책이 더 많은 사람을 불러들이고 있다고 공격하고 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