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현지시간) 오후 북한 미사일 발사에 따른 대북 결의안 투표를 앞둔 유엔본부 건물 2층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장 주변은 전날까지와는 달리 '합의에 의한 결의 채택'이 확실시되는 분위기였다.
전날 밤 늦게까지만 해도 미국과 일본이 경제 및 군사 제재와는 무관한 유엔 헌장 7장(39-51조)의 일부인 40조를 원용한다고 특정하면서 타협을 시도했지만 중국이 거듭 거부권 행사를 경고하면서 긴장감이 조성됐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유엔 헌장 7장을 포기키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급격하게 결의 만장일치 채택 쪽으로 기울었으며 안보리 회의장 주변에서도 이날 오전 프랑스 유엔대표부에서 열린 비공개 절충작업을 기점으로 논의가 급진전됐다는 이야기들이 흘러나왔다.
이를 반영하듯 안보리 회의장으로 들어가던 장 마르크 드 라 사블리에르 유엔 주재 프랑스 대사는 "안보리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비난하는 결의문에 합의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뒤이어 들어온 존 볼턴 유엔주재 미국대사도 안보리가 대북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가결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유엔 헌장 7장을 고수하는데 실패한 오시마 겐조 유엔 주재 일본 대사는 굳은 표정으로 기자들을 피해 서둘러 회의장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안보리 의장국인 프랑스는 회의가 시작되자마자 상임이사국과 일본이 합의한 결의안을 대기하고 있던 취재진들에게 배포하기도 했다.
볼턴 대사는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결의안을 채택한 뒤 전체회의에서 회의장에 모습을 드러낸 박길연 유엔 주재 북한 대사쪽을 바라보면서 강한 어조로 북한의 결의 준수를 촉구하기도 했지만 회의를 마친 뒤에는 기자들의 질문에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볼턴 대사는 미국과 일본이 그토록 주장하던 유엔 헌장 7장을 포기한 이유 등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비록 유엔헌장 7장이 결의에서 빠졌지만 다른 문구들을 모면 이번 결의가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면서 장황하게 배경을 설명하기에 바쁜 모습이었다.
안보리 전체회의 때 대표 뒷자리에 앉아 회의를 지켜봤던 오시마 대사도 안보리 회의장 앞에 마련된 공식 기자회견장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은 채 유엔본부 건물을 빠져 나가려다 일본 기자들에게 붙잡혀 한동안 쏟아지는 질문공세에 진땀을 흘렸다. 일본측은 안보리 전체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결의 채택을 지원한 것에 대해 고맙게 생각하지만 결의 내용이 너무 약하다며 유엔 헌장 7장이 빠진 것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보도와는 달리 일본 정부가 강경입장을 고수한 것에 대해 놀라움을 표시하면서 아베 신조 관방장관과 아소 다로 외상의 알력설, 정보 전달 오류설 등을 제기하면서 분석에 골몰하던 일본 취재진들도 이날은 완화된 결의 채택을 기정사실화한 채 취재에 나서는 모습이었다. 한편 박길연 북한대사는 안보리 이사국들의 표결 후 의사표명이 끝난 뒤 발언을 자청해 3쪽 분량의 성명을 낭독했으며 회의장을 빠져 나온 뒤에는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에게 상기된 표정으로 결의를 전적으로 거부한다고 말한 뒤 곧바로 건물을 빠져나갔다. 김계환 특파원 kp@yna.co.kr (뉴욕=연합뉴스)
안보리 전체회의 때 대표 뒷자리에 앉아 회의를 지켜봤던 오시마 대사도 안보리 회의장 앞에 마련된 공식 기자회견장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은 채 유엔본부 건물을 빠져 나가려다 일본 기자들에게 붙잡혀 한동안 쏟아지는 질문공세에 진땀을 흘렸다. 일본측은 안보리 전체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결의 채택을 지원한 것에 대해 고맙게 생각하지만 결의 내용이 너무 약하다며 유엔 헌장 7장이 빠진 것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보도와는 달리 일본 정부가 강경입장을 고수한 것에 대해 놀라움을 표시하면서 아베 신조 관방장관과 아소 다로 외상의 알력설, 정보 전달 오류설 등을 제기하면서 분석에 골몰하던 일본 취재진들도 이날은 완화된 결의 채택을 기정사실화한 채 취재에 나서는 모습이었다. 한편 박길연 북한대사는 안보리 이사국들의 표결 후 의사표명이 끝난 뒤 발언을 자청해 3쪽 분량의 성명을 낭독했으며 회의장을 빠져 나온 뒤에는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에게 상기된 표정으로 결의를 전적으로 거부한다고 말한 뒤 곧바로 건물을 빠져나갔다. 김계환 특파원 kp@yna.co.kr (뉴욕=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