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저녁 도쿄패럴림픽 개막식이 열린 국립경기장 주변에서 패럴림픽 개최에 반대하는 이들이 ‘노 패럴림픽’이라고 쓴 팻말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도쿄/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도쿄패럴림픽(8월24일~9월5일) 개막식 다음날인 25일 코로나19 긴급사태 선포 지역을 8곳 추가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후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현재 도쿄 등 13곳에 선포된 긴급사태 선포 지역에 홋카이도·미야기·기후·아이치·미에·시가·오카야마·히로시마 8개 지역을 추가한다는 결정을 했다. 긴급사태가 적용되는 곳은 일본 전체 47곳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절반에 육박하는 21곳에 이르게 됐다.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보다는 한 단계 낮은 방역 조처인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이하 중점조치)도 고치·사가·나가사키·미야자키 4개 지역에 추가 적용한다. 중점조치 적용 지역은 12곳으로 증가한다. 추가로 긴급사태와 중점조치가 선포되는 지역의 발효 시점은 오는 27일부터다. 종료 시점은 기존 대상 지역과 같이 다음달 12일이다.
일본의 코로나19 대책을 담당하는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은 이날 오전 열린 전문가 자문회의인 ‘기본적 대처 방침 분과회’에 출석해 “전국 신규 양성자(코로나19 확진자) 숫자가 매일 2만명이나 2만5000명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전국 중증 환자 숫자도 급격히 증가하고 연일 최고치가 되는 등 의료가 극히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도쿄올림픽 개막식이 열린 지난 7월23일 일본의 코로나19 하루 확진자 숫자가 4225명이었으나 올림픽 기간 중 하루 1만명을 넘었고, 최근 하루 2만명대 신규 감염자가 보고되고 있다. 패럴림픽 개막식이 열렸던 24일에도 2만1750명의 신규 감염이 확인됐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기대한 만큼의 방역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다. 지난해부터 긴급사태만 4번째 선포했으며, 기간도 연장을 거듭하면서 시민들의 피로도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