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서린 타이(왼쪽)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는 17일 도쿄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과 회담을 열고 새롭게 ‘미·일 통상 협력 틀’을 마련하는 것에 합의했다. 도쿄/EPA 연합뉴스
미국과 일본이 경제 전반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다.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인도·태평양 지역의 경제 질서를 미·일이 주도해 나가기 위한 목적이라는 분석이다.
캐서린 타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17일 도쿄에서 하기우다 고이치 일본 경제산업상,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과 만나 새롭게 ‘미·일 통상 협력 틀’을 마련하는 것에 합의했다고 일본 정부가 밝혔다. 중국 통상 문제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환경, 노동, 공급망, 탈탄소, 디지털 경제 등을 주요 의제로 삼을 예정이다. 경제산업성 간부는 “무역협정을 교섭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 기회를 이야기하는 틀”이라고 말했다. 내년 초부터 국장급이 참여해 협의를 시작한다.
<아사히신문>은 “미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복귀가 어려운 가운데 중국은 경제외교에서도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며 “(미·일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하야시 외무상은 이날 타이 대표를 만나 미국의 시피티피피 복귀를 다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자국내 산업에 불리하다며 복귀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시피티피피는 미국이 주도했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미국이 탈퇴하자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 나머지 국가들이 수정해 만든 협정이다. 영국에 이어 중국과 대만이 가입 신청을 한 상태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