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탱크에 보관 중인 방사성물질 오염수. AP 연합뉴스
대만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조사단을 파견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차원이 아닌 개별 국가의 조사단은 이례적이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대만 정부가 23일 원자력위원회 전문가 등 8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을 일본에 파견했다”며 “25일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해양 방류 준비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조사단은 27일까지 일본에 머물 예정이다.
대만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회원국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조사단을 보내는 방안을 추진했고 일본 정부가 수용하면서 이번 방문이 성사됐다. 대만 원자력위원회는 1개월 이내 검토 보고서를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또 전문가를 일본에 장기적으로 파견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대만 원자력위원회는 지난해 4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하겠다고 결정하자, “반대한다”며 유감을 표명한 바 있다. 대만도 오염수 바다 방류에 대해 어업인을 포함해 부정적인 여론이 높다.
이번 조사단 방문이 지난달 대만 정부가 11년 동안 유지해온 후쿠시마산 식품에 대한 금수 조치를 해제한 뒤 이뤄진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대만 정부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동반자협정)에 가입하기 위해 일본이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후쿠시마 식품 수입을 허용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앞서 지난달 14~18일 한국·미국·중국 등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된 국제원자력기구 조사단은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에 대한 안전성을 점검했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약 125만t)의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춘 뒤, 내년 봄부터 장기간(약 30년)에 걸쳐 원전이 위치한 해안에서 1㎞ 길이의 해저터널을 새로 만들어 이곳을 통해 오염수를 방류할 예정이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