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총리관저 누리집 갈무리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해 제재 등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는 기시다 후미오 정부의 지지율이 급상승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5~27일 전화 여론조사(응답자 976명)를 실시한 결과, 기시다 정부의 지지율이 61%로 한 달 전보다 6%포인트가 늘었다고 28일 보도했다. 내각 지지율이 오는 것은 3개월 만이다. 러시아에 대한 대응과 코로나19 감염자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일본 정부 대응에 대해 응답자의 67%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정적 평가는 22%에 머물렀다. 구체적으로 일본 정부의 러시아 제재에 대해선 44%가 ‘적절하다’고 답했고,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도 41%에 달했다. 85%가 러시아 제재에 지지를 보내고 있는 셈이다. ‘너무 가혹하다’는 7%에 그쳤다.
일본 정부는 미국·유럽과 보조를 맞춰 반도체 수출 제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포함한 러시아 정부 관계자 자산 동결 등의 조치를 취했다. 일본 정부가 우크라이나 피란민을 수용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90%가 찬성했다. 반대는 4%였다.
코로나19 감염자가 감소 추세에 접어든 것도 지지율 상승에 영향을 줬다. 응답자의 64%가 정부의 코로나 대응에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달 전보다 8%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이 질문을 시작한 2020년 2월 이후 가장 높다. 일본의 코로나 감염자 일주일 평균은 이달 초 6만명대에서 최근 3만명대로 낮아졌다. 일본 정부는 지난 22일부터 방역 규제를 전면 해제한 상태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일본 국민의 안보 불안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중단시킬 수 없을 경우 대만에 대한 중국의 무력행사 파급에 대해 응답자의 77%가 우려한다고 답했다.
미국의 핵무기를 일본 영토 내에 배치해 공동 운용함으로써 억지력을 확대하는 ‘핵공유’ 전략에 대해서는 ‘핵공유는 반대하지만 논의는 해야 한다’가 56%로 가장 높게 나왔다. ‘핵공유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도 23%로 조사됐다. 핵공유에 대한 찬반과 상관없이 논의는 해야 한다는 여론이 79%에 달했다. ‘핵공유 논의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17%에 그쳤다.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지난달 민영방송에 나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언급하며 그동안 일본에서 금기시되던 ‘핵공유’를 언급했고, 자민당을 중심으로 논의는 해야 하지 않냐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