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강진으로 인한 원전 방사능 유출 파문이 계속 번지고 있다.
지난 16일 일본 니가타현 지진으로 도쿄전력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물질이 유출된 사건과 관련해 회사 쪽이 누출된 방사능 양을 축소해 발표했던 것으로 18일 밝혀졌다. 도쿄전력은 당초 물과 함께 바다로 유출된 방사능량을 6만 베크렐(Bq.방사능 단위)이라고 밝혔다가 이날 9만 베크렐로 정정 발표했다. 사용 후 핵연료 저장고가 지진으로 흔들리면서 누출된 것이다. 회사 쪽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단순한 계산 착오로 이런 일이 발생했다”며 “국가 안전기준에는 미달하는 수치로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도쿄전력은 또 지진으로 넘어진 저준위 폐기물 보관용 통의 수가 당초 알려진 100개가 아닌 400개라고 고쳐 발표했다. 도쿄전력은 넘어진 보관 용기 중 40개가 파손돼 내용물이 밖으로 나왔지만 보관창고 외부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자력발전소에는 가동정지 명령을 내렸다. 가시와자키시의 아이다 히로시 시장은 18일 오전 가쓰마타 쓰네히사 도쿄전력 사장을 시청으로 불러 “원전 구내에 지반이 상당히 손상된 곳도 있어 이 상태로는 원전의 재개를 인정하기 어렵다”며 원전의 긴급 사용정지를 명령했다. 사용정지된 것은 실내 저장고로, 이 시설이 정지되면 원전 가동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본의 원전 관할 지자체가 소방법을 근거로 가동정지 명령을 내린 것은 지난 1995년 고속증식로 ‘몬주’의 나트륨 누출 사고에 이어 두 번째다.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도쿄전력 방사능 물질 유출 사고에 대해 “지진 강도가 설계 기준을 초과한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본은 원자로 구조와 시스템, 구성부품에 대해 전면적인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이번에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에서 규모 6.8의 강진을 일으킨 단층은 가리와 원자력발전소 바로 밑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기상청 등의 여진 분석에서 밝혀졌다. 이 때문에 원전이 지진 위험에 곧바로 노출돼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원전 쪽은 설계 당시 이번과 같은 규모의 지진은 예상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진의 희생자 수는 이날 오후 늦게 구조대원들이 무너진 건물 더미 안에서 시신 1구를 추가 발굴함에 따라 10명으로 늘어났다.도쿄/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