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경기가 침체한 가운데 물가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 우려를 이달 정례 경제보고서에 담기로 했다고 아시히신문 등 현지언론이 17일 보도했다.
그동안 물가 하락이 지속되고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언론과 경제계에서 디플레이션을 걱정하는 우려는 많이 제기했으나 정부가 이를 공식화하는 것은 2001년 3월 이후 처음이다.
16일 내각부가 발표한 올해 7∼9월기 국내총생산(GDP)은 2분기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지만 물가 변동을 반영한 명목 GDP는 기업수익과 근로자 임금 감소로 6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였다.
이는 상품이 팔리지 않자 기업들이 가격 인하경쟁에 나서고 이것이 기업 수익 악화와 임금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연결되면서 국민들이 경제성장을 체감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 정부는 2000년을 전후로 물가하락이 2년 이상 지속되자 2001년 3월 '경제가 완만한 디플레이션 상황'이라는 것을 인정한 바 있다.
하지만 물가하락 폭이 축소되고 경제가 상승세를 타면서 2007년 이후 디플레이션 국면에서 탈출했다.
일본 정부는 경기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올 회계연도 14조7천억엔대의 1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한데 이어 다시 2조7천억엔대의 2차 추경을 편성하고 있지만 규모가 적어 효과가 의문시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종현 특파원 kimjh@yna.co.kr (도쿄=연합뉴스)
김종현 특파원 kimjh@yna.co.kr (도쿄=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