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쓰키 ‘전도요타노조’ 위원장
와카쓰키 ‘전도요타노조’ 위원장 인터뷰
“도요다 사장은 말보다는 구체적인 실행책을 제시하길 바란다.” 24일 미국 의회 청문회 출석을 앞두고 있는 도요다 아키오 사장에 대해 도요타의 소수노조인 ‘전도요타노조’의 와카쓰키 다다오 위원장은 지난 18일, 22일 <한겨레>와의 두차례 전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아키오 사장, 말보다 구체적 실행책 제시해야” 그는 특히 2006년 대량리콜 사태를 언급하며 “당시 경영진의 대응 방법이 진지하지 않았던 부분을 이번에는 제대로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도요타노조가 2006년 10월 일본 국내에서 대량리콜 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경영진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제시했음에도 이를 무시해 오늘의 사태를 불렀다는 점을 상기시킨 것이다. 노조는 당시 와타나베 가쓰아키 사장 앞으로 보낸 요청서에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국토교통성에 신고한 리콜 대수가 500만대를 넘어서 5년간 약 45배로 증가했다”고 지적하며 숙련기술자 부족 등 7가지 문제점에 대한 검증을 요구했다. 그러나 기업의 존망이 걸린 위기감에서 제시한 내부의 문제제기에 대해 회사 경영진 쪽은 가입자 수가 얼마 되지 않는 신생노조(2006년 1월 결성)라는 이유로 무시했다고 한다. 그는 결함차 대량 생산의 근본 배경에 대해 “과도한 경비절감 계획 속에 생산을 확대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2000년부터 3년간 실행된 30% 총원가 절감 계획(CCC21)이 그 이후에도 형태만 바뀐 채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2004년 생산현장에서 40%가 비정규직이었다. 교육과 훈련이 결여된 비정규직 노동자의 채용으로 값싼 차 만들기에는 성공했을지 모르지만 자동차의 안전성은 크게 희생됐다.” 2008년 말 금융위기 이후 현재는 비정규직이 10%가량으로 줄었지만 생산이 확대되면 언제든지 늘어날 수 있는 구조라고 그는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또다른 문제점으로 “개발기간 단축, 실험 데이터의 축적 문제, 인재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생산 확대에 따라 부족한 기술자를 메우기 위해 관련 기업과 하청업체 직원들을 생산 현장에 불러들여 일하게 하는 도요타 쪽의 ‘사외자 활용’(우리나라의 사내하청에 해당) 문제는 결함차 양산과 관련이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2006년 시점에서 현장직의 40%, 엔지니어의 30%를 차지한다. 엔지니어 경우엔 지금도 수치가 크게 변함없다. 급료는 파견하는 쪽에서 부담한다. 기본적으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본사의 요구를 거부할 수 없다. 결함차가 늘어난 것은 경비 절감 차원에서 사외인력 활용이 늘어난 것과 관련이 있다.” 그는 미국 쪽이 과도하게 도요타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는 일본 안 일부 여론에 대해선 “미국에서 제조한 것도 일본 본사가 승인한 것이므로 리콜 사태에 대해 비난받아도 이상하지 않다”고 본사의 책임을 강조했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사진 프리저널리스트 요코타 하지메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