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가 28일 후텐마 미군기지 이전에 대한 미-일 양국 정부의 공동성명이 발표된 뒤 정부 방침을 확정하는 각료회의장에 들어서면서 나카이 히로시(맨 왼쪽) 국가공안위원장과 오카다 가쓰야 외무장관(가운데)의 인사를 받고 있다. 도쿄/AFP 연합뉴스
후텐마기지 미·일성명 파장
양국 ‘현외이전’ 공식백지화…“국민에 죄송”
지지율 하락 등 타격…합의이행도 난항 예상
양국 ‘현외이전’ 공식백지화…“국민에 죄송”
지지율 하락 등 타격…합의이행도 난항 예상
지난해 8월30일 총선거를 앞두고 하토야마 유키오 당시 민주당 대표는 오키나와현의 미 해병대 후텐마 비행장을 ‘최소한 현 바깥’으로 이전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선거에서 이겨 총리 자리에 오른 하토야마는 9개월 만인 28일 그 약속을 공식적으로 파기했다. 미-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SCC)의 이날 공동성명은 후텐마 비행장의 이전 위치로 ‘헤노코’라는 지역을 명시하고 활주로도 미국의 주장대로 1800m를 확보하기로 했다. 양국은 대체시설의 위치, 배치 및 공법에 관한 전문가 검토를 8월 말까지 끝내고 9월 열리는 위원회에서 확정하기로 했다. 미국과 대체시설 이전 완료시기로 약속했던 2014년 기한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또 미군 훈련시설 일부를 오키나와 현 밖으로 옮기는데, 이 후보지로 도쿠노시마와 괌 등 국외지역까지 검토하기로 했다. 훈련시설 일부 이전 언급이 있지만 자민당 시절 양국 정부가 합의했던 뼈대와 거의 유사하다. 사실 하토야마 총리가 ‘현외 이전’을 거론한 것은 ‘오키나와의 부담 경감’ 이상의 의미가 담긴 것이었다. 민주당은 ‘미국과 대등한 관계’를 외교정책의 한 목표로 내세웠다. 후텐마 기지는 그 첫 시험대였다. 그러나 결론은 일본의 새 정부도 미국의 그늘을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으로 끝이 났다. 일본은 미국을 이해시킬 대안을 내놓지 못했다. 각료들 사이에서는 ‘미-일 동맹’이 흔들린다며 현외 이전에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다. 결국 하토야마는 한국의 ‘천안함 사태’를 계기로 ‘(미군 주둔을 통한) 억지력의 확보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됐다’며 기존안으로 급속히 기울었다. 이번 ‘후텐마 봉합’으로 일단 미-일 동맹은 급속히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동북아시아 안보정세의 최근 전개에 의해 미-일 동맹의 의의가 재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날 아침 하토야마 총리와의 통화에서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협상 결과에 대한 만족을 표시했다. 하지만 하토야마 내각이 입은 상처는 크다. 이날 후쿠시마 미즈호 소비자보호상의 ‘파면’으로 당장 연정이 흔들리게 됐다. 그동안 당론으로 ‘현외이전 내지 국외이전’을 주장해온 사민당을 고려해 애초엔 각료서명이 필요없는 ‘총리의 대국민 설명’으로 넘어갈 것이란 관측이 있었다. 하지만 천안함 사태 등 속에서 ‘각의 의결’을 요구하는 강경파의 목소리가 높아지며 28일 상황이 급반전했다.
이에 따라 7월 참의원 선거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하토야마 총리는 4월 초 오키나와를 방문했을 때만 해도 ‘캠프 슈워브 연안부를 매립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모독”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바 있으나 한 달 만에 식언을 한 꼴이 됐다. ‘큰소리만 치고 실현은 못한다’는 하토야마에 대한 여론의 평가는 내각과 민주당의 지지율을 계속 끌어내리고 있다. 오키나와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8월 말까지 끝내기로 한 전문가 검토 등과 공사 실시가 예정대로 이뤄질지도 의문이다. ‘훈련 분산’ 지역을 찾는 문제 또한 후보에 오르는 지역마다 강력한 반대를 불러올 것이 뻔하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