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민주당 대표 선거 후보자별 득표 분포
당원·후원자 투표 83% 득표
14일 치러진 민주당 대표 선거는 일본 정치의 구태로 여겨지는 ‘계파간 합종연횡’이 아니라 여론의 지지가 결과를 좌우했다는 점에서도 관심을 모은다. 이번 선거가 8년 만에 국회의원뿐 아니라, 당원·후원자 및 지방의원까지 모두 참가하는 당대표 선거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민주당 대표 선거 규정을 보면, 현직 국회의원(411명)은 한 사람당 2점씩 투표권을 갖는다. 지방의원(2382명)들의 투표권은 모두 100점으로, 득표율에 따라 후보들에게 배분한다. 당원·후원자의 표는 300개 중의원 소선거구별로 집계돼, 득표를 많이 한 후보자에게 해당 소선거구(1점씩)가 돌아가도록 했다.
이번 선거에서 국회의원 투표권은 822점으로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했지만, 선거 결과를 좌우한 것은 당원·후원자의 투표였다. 이번 선거에 참여한 34만2493명의 당원·후원자들은 전체 300개 중 249개의 선거구에서 간 나오토 총리에게 표를 몰아줬다. 이는 국민의 여론을 당원·후원자들이 거의 그대로 표로 연결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계파간 합종연횡도 없지는 않았다. 간 총리는 마에하라 세이지 국토교통상 그룹, 노다 요시히코 재무상 그룹의 조직적인 지지를 얻었다. 오자와 이치로 전 간사장은 하토야마 그룹의 지지를 얻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본 결과 중립지대에서 표류하던 국회의원 표 가운데 상당수는 여론의 지지를 받는 간 총리 쪽으로 기운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선거 과정에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오자와를 지지할 경우 다음 총선에서 표를 얻을 생각을 말라”는 지역구 유권자들의 항의를 받았다고 털어놨다.
민주당의 당대표 선거제도는 2002년 9월 단 한차례 시행된 뒤, 이번에 두번째로 적용됐다. 1998년 창당 이후 그동안 13번 당대표 선거가 있었지만, 임기 만료 뒤 현직 대표가 무투표로 재선하거나, 해임·사임 등 ‘급박한 상황’을 이유로 양원 의원총회에서 당대표를 선출했기 때문이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