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 선언’ 불과 1년뒤
일본 정부가 1969년 옛 서독 정부와 극비리에 핵무기 보유를 위한 협력을 타진했다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 등 일본 언론이 4일 보도했다.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 외상은 이에 대해 “사실 관계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엔에이치케이>는 1969년 2월 일본 하코네에서 양국 외교관리들이 비밀리에 만났다며, 이 자리에서 일본은 “중국에 이어 인도가 핵을 보유하는 등 아시아에서 핵보유국이 늘어나면 일본의 입장이 위험해진다. 일본의 기술은 핵무기 원료를 만들기에 충분하다”며 핵 보유를 위한 서독의 협력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서독은 “패전으로 나라가 동서로 갈라진 상황에서 주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어렵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엔에이치케이>는 당시 비밀회의에는 일본에서 외무성 국제자료부장 등 6명, 서독에서는 외무부 정책기획부장 등 5명이 참가했다며, 이런 사실이 독일에 남아 있는 옛 서독 외무부 기밀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당시 일본 쪽 외교관으로 참가한 뒤 뒷날 외무성 사무차관이 된 무라타 료헤이는 지난 3월 사망하기 전 <엔에이치케이>와 한 인터뷰에서 “핵무기를 가질 수 있는 여지를 남겨, 큰 나라들이 만든 조건을 뒤집고 싶었다”고 증언했다고 방송은 덧붙였다.
일본이 서독에 핵무기 보유를 위한 협력을 타진한 시기는 사토 에이사쿠 당시 총리가 1968년 1월 시정연설에서 “핵무기는 만들지도, 보유하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이른바 ‘비핵 3원칙’을 선언한 지 1년 뒤의 일이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