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회의 다음날로 일본은행 정례회의 앞당겨
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다음달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애초 계획보다 열흘 가량 앞당겨 4~5일 이틀간 열기로 했다. 이는 2~3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정책에 따라 즉각 대처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애초 계획대로라면 일본은행의 다음달 정례회의는 15~16일 열리게 돼 있었다.
일본은행은 28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하루 짜리 콜금리 목표치를 기존 연 0~0.1% 범위로 유지하기로 결정하고, 지난 5일 공개한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세부안을 공개했다. 그러나 엔화 강세와 경기회복세 둔화에 대한 양적완화의 확대 등 추가 조처는 전혀 취하지 않았다.
일본은행은 대신 다음달 회의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직후에 곧바로 열어, 미국 연준의 정책으로 엔화 강세가 가속화할 경우 대응책을 내놓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의 정례회의가 불과 열흘 만에 열리는 이례적인 일이 벌어졌다.
일본은 엔화 강세로 9월까지 7개월째 수출 증가율이 둔화되고, 경기지표도 상승세를 멈춘 상태다. 그런 가운데, 미국이 11월에 추가 양적완화(시중자산 매입을 통한 통화공급)를 단행하면 달러 약세-엔화 강세가 재현돼, 엔화가치가 전후 사상 최고치인 달러당 79.75엔을 돌파할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을 더욱 악순환 구조에 빠뜨릴 수 있다. 시티은행은 29일 보고서에서 “일본이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5조엔으로는 턱없이 부족하고, 100조엔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만큼 벗어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으로선 엔 강세를 저지할 마땅한 방법이 없다. 지난 23일 경주에서 폐막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외환시장 개입’을 하지 않기로 합의한 데다, 일본이 지난 9월 단행한 시장 개입에 대해서도 국제통화기금(IMF) 등이 거세게 비판하고 있는 까닭이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