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호기 수증기 계속 유출…4호기 추가 폭발
방사능 누출 급증에 접근 어려워 ‘속수무책’
도쿄전력, 송전선 가설로 냉각장치 복구 추진
방사능 누출 급증에 접근 어려워 ‘속수무책’
도쿄전력, 송전선 가설로 냉각장치 복구 추진
원전 최악상황에 해법 안갯속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갈수록 악화하고 있으나 마땅한 대응책이 없어 일본 정부가 막다른 골목으로 몰리고 있다. 16일 고심 끝에 결정한 헬리콥터 이용 ‘급수작전’도 강력한 방사능 누출 때문에 단념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후쿠시마 원전은 크게 두 가지 형태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 1~3호기에선 노심이 녹아내리고 연료봉이 공중에 노출돼 방사능 누출이 급속히 늘고 있다. 16일 원전 주변에서 급증한 방사선은 2호기에서 새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압력용기와 이어진 격납용기 내 압력제어실에서 폭발이 일어나 생긴 틈이 원인이다. 일본 정부는 바닷물 급수가 계속되고 있지만 2호기의 냉각수 수위가 올라가지 않는 점을 그 근거로 보고 있다. 들어간 물이 고열로 인해 증발한 뒤 방사능을 품은 채 이 틈으로 새나간다는 것이다. 방사능 누출이 계속될 전망이지만, 현재로선 사람이 직접 투입되지 않고선 틈을 메울 방법이 마땅치 않다.
3·4호기 상황은 더 시급하다. 냉각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사용후 연료봉 수조의 냉각수가 증발하고 있다. 4호기에선 보통 40℃인 냉각수의 온도가 84℃까지 올라간 것으로 확인됐다. 두 곳에는 각각 514, 783개의 연료봉이 들어 있다. 냉각수가 더 증발하면 연쇄반응을 막는 제어물질이 사라짐으로써 연료봉 내 플루토늄이 빠른 속도로 일어나 엄청난 방사선을 내놓을지도 모른다.
일본 정부가 이날 오후 헬기 급수작전을 결심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방위청은 애초 자위대원들의 피폭 위험이 높고, 운반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많지 않다는 점 등을 들어 난색을 보인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저녁 경찰에 고압 방수차로 지상에서 물을 뿌리는 방안을 지시했으나 이 또한 효과를 장담하기는 어렵다. 누출된 방사선 때문에 경찰 기동대원들이 현장에 얼마나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실제 육상자위대는 자신들의 화생방전용 방호복으로는 고농도 방사선을 막을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15일 예정됐던 원자로 냉각 지원 작업을 중단했다. 더욱이 자위대는 물론 경찰도 방사능 누출이라는 비상 상황에 대한 경험이나 노하우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계기들이 부서지고 방사능 때문에 이동이 제한돼 정확한 상황 파악에 시간이 걸리는 것도 대응을 더 힘들게 한다.
바닷물 투입에도 식지 않는 1~3호기의 원자로 냉각을 위해서도 관련 기술인력의 현장 접근이 필요하다. 도쿄전력은 송전선을 가설해 외부에서 전기를 끌어오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별 진전이 없다. 도시바와 히타치 등 관련 업체는 정부의 요청을 받고 비상용 전원 가동을 위한 위기대응팀을 구성해 대기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원자로 냉각이든, 사용후 연료봉 수조의 냉각수 보급이든, 사람들이 직접 뛰어들지 않으면 해결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현장의 방사능 오염 위험은 심각하다. 원자로의 상태를 감시하는 요원들은 보호벽이 갖춰진 중앙제어실의 상주 근무를 피하고 부정기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 그치고 있다. 목숨을 건 결사대의 투입이 마지막 카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간을 더 끌다가는 상황이 더 악화할 수도 있다. 그 고뇌에 찬 결단을 누가 내릴 것인지 일본은 물론 전세계가 주시하고 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박중언 기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강원도, ‘빚더미’ 알펜시아 청산 검토
■ 이동흡 후보, 공금으로 재테크?
■ 한기총 회장 출신 목사 또 ‘교회 세습’
■ 무서워 도망치던 아이들 ‘기적의 스틱’
■ ‘80억 횡령’ 여수 공무원 ‘반성문’
| |
■ 강원도, ‘빚더미’ 알펜시아 청산 검토
■ 이동흡 후보, 공금으로 재테크?
■ 한기총 회장 출신 목사 또 ‘교회 세습’
■ 무서워 도망치던 아이들 ‘기적의 스틱’
■ ‘80억 횡령’ 여수 공무원 ‘반성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