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식품 방사성 물질 기준치와 최고 검출량
‘먹을거리 불안’ 현실화
지바산 쑥갓 일부도 방사능 오염돼 판매금지
일 정부, 검사 확대…눈·비에 오염 확산 우려
지바산 쑥갓 일부도 방사능 오염돼 판매금지
일 정부, 검사 확대…눈·비에 오염 확산 우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에서 생산한 우유와 시금치에서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면서 소매점들 사이에 해당 산지의 시금치를 진열대에서 철수하는 움직임이 이는 등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검사를 확대해 오염된 식품의 유통을 차단하기로 하는 등 불안감 확산을 막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원전 남쪽 이바라키현의 농가에서 18~19일 생산한 시금치에서는 20일 기준치(1㎏당 2000베크렐)의 최고 27배에 이르는 5만4100베크렐에 이르는 방사성 요오드와, 기준치(500베크렐)의 약 4배에 이르는 1931베크렐의 세슘이 20일 검출됐다. 지바현에서 생산한 쑥갓에서도 기준치의 2.15배가 넘는 요오드가 검출돼, 도쿄도는 식품위생법에 따라 지바현에서 생산한 쑥갓 90㎏을 판매금지했다고 밝혔다. 요오드는 인체에 축적돼 갑상샘암을 일으키고 세슘은 근육조직을 손상시키는데, 특히 어린이에게 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공 전 우유에서도 오염이 확인됐다. 후쿠시마현의 낙농가에서 생산한 원유에서는 기준치(300베크렐)의 최고 17배에 이르는 5200베크렐의 요오드가 검출됐다.
심리적 영향이 큰 수돗물에서는 방사능이 검출되기는 했지만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극미량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도치기현에서만 요오드가 기준치(300베크렐)의 4분의 1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고, 도쿄에서는 요오드가 기준치의 200분의 1 정도 검출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기준치를 초과하는 식품이라도 몇 차례 섭취하는 정도로는 인체에 해가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는 “기준치의 7.5배가 검출된 시금치의 겨우 1인분을 100g으로 볼 경우, 4200인분을 먹어야 해롭다”며 “어린이나 임부에게도 해가 없다”고 밝혔다. 일본분석센터는 “물에 씻으면 대부분 씻겨나간다”고 설명했다. 오염이 가장 심한 후쿠시마현 우유라면 보통 사람이 마시는 정도로 1년간 마실 경우,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시티)을 세 차례 받는 것과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는 검사를 확대해 오염된 식자재의 유통을 차단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금치나 원유 등에서 검출된 방사능이 19일보다 20일에 더 높고, 오염 식품의 수도 늘어나는 추세여서 불안감을 차단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원전 상황이 불안정한 가운데 20일 오후부터 일본 동부·동북부 지역에 내리고 있는 눈과 비도 오염 확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도쿄도와 이바라키현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8개 도·현의 비나 먼지에서는 방사능 물질이 미량 검출된 바 있다.
<에이피>(AP) 통신은 대만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일본에서 수입한 누에콩에서 미량의 방사능이 검출됐다고 전했다. 국내 판매와 수출이 모두 차질을 빚으면서, 농가의 손실도 불가피해졌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