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과 발전기종 다르고
변환소도 부족 ‘공급 한계’
도쿄 ‘계획정전’ 불만 증폭
변환소도 부족 ‘공급 한계’
도쿄 ‘계획정전’ 불만 증폭
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이 멈춰서면서 도쿄전력의 전력공급량은 40%나 줄어들었다. 이에 따른 계획정전이 장기화하면서 지진에 직접 타격을 받지 않은 수도권의 혼란도 길어지고 있다. 반면 서쪽 간사이 지방의 전기는 남아돈다. <산케이신문>은 동서의 전기 주파수가 달라 공급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21일 전했다.
일본에 전기가 처음 도입된 메이지시대에 동쪽 간토 지방은 독일제의 50㎐ 발전기를, 서쪽 간사이 지방은 미국제 60㎐ 발전기를 수입했다. 그 뒤로 시즈오카현의 후지천과 니가타현의 이토이천을 경계로 동서의 주파수가 다른 방식으로 정착됐다. 현재 주파수를 바꿔주는 변환소가 세 군데 있는데 모두 합쳐도 변환능력은 100만㎾에 불과하다. 지금 도쿄전력은 500만㎾ 규모 5개 그룹으로 나눠 계획정전을 계속하고 있는데, 100만㎾는 필요한 양에 5분의 1에 불과하다.
지난 2008년 니가타현 나카고에만에 지진 당시엔 도쿄전력의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전 7기 모두가 운행을 멈췄지만 각지의 화력발전소를 총동원하고 주파수가 같은 도호쿠전력에서도 전기를 공급받아 정전 사태까지 가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동부 지역 화력발전소도 여러곳 피해를 당한 데다가 도호쿠전력의 발전소도 화재로 가동이 힘든 상황이어서 전기를 공급받을 길이 없는 상태다. 나카고에만 지진 이후 주파수 변환시설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도쿄전력은 “변환소를 늘리면 송전선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등 비용이 크기 때문에 발전소를 늘리는 것이 효율적이다”라고 일축했다.
지난 14일부터 계속된 계획정전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은 상당하다. 도쿄전력에는 매일 “대상이 아닌데 갑자기 정전이 됐다”, “우리집 불은 꺼졌는데 왜 맞은편 집은 불이 켜져 있나”라는 등의 항의가 쇄도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정전은 행정구역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변전소별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계획정전이 피난소나 의료시설에도 예외없이 무차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는 비난에 대해서도 “건물별로 정전대상에서 빼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