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정보 통제 강화” 회원들 반발
일본 기상학회가 회원들에게 ‘대기중에 확산되고 있는 방사성물질의 영향을 예측하는 연구 결과 공표를 자제하라’고 통지해 파문이 일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3일 보도했다. 회원들은 자유로운 연구 활동이 위축되고, 중요한 재해 정보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 통지는 지난달 18일 학회 홈페이지에 올라왔는데, 니이노 히로시 이사장(도쿄대 교수)의 명의로 ‘학회의 관계자가 불확실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정부의 방재 대책에 혼란을 줄 수 있다’, ‘방재 대책의 기본은 신뢰할 수 있는 단일한 정보에 기반해 행동하는 것’ 등의 내용으로 돼 있다.
이 글에 대해 홈페이지에는 “학자로서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시대착오적이다”라는 등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니이노 이사장은 “연구는 물론 중요하지만 방사성 물질의 확산에 특화되지 않은 예측을 발표할 경우 사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측은) 정부가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원전 사고에 따른 방사능영향예측(SPEEDI) 계산 발표는 문제가 발생한 뒤 열흘이 넘은 지난달 23일 이뤄질 정도로 늦어졌고, 그동안 일본 국민의 불안은 엄청나게 확산됐다. 기상학회원인 야마가타 토시오 도쿄대 이학부장은 “학문은 자유로운 것이다. 통지를 봤을 때 조금 무섭다고 생각했다”고 말했고, 고야마 마사토 시즈오카대 교수는 “주민들은 여러가지 정보를 얻어서 안심하기도 하고, 피난행동에 나서기도 한다. 정보통제를 강제하는 것은 학회의 자살 선언이나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