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에도 쓰나미
“경기 재침체 불가피” 전망속
“복구따른 경제 활기” 낙관도
“경기 재침체 불가피” 전망속
“복구따른 경제 활기” 낙관도
대지진은 세계 3위 규모의 일본 경제에도 지진해일(쓰나미)을 몰고 왔다. 1990년대 이래의 장기 불황으로부터 탈출을 모색하던 일본 경제는 다시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다.
일본 정부는 건물들과 사회기반시설들이 16조~25조엔(약 318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의 3~5%에 이르는 큰 피해다. 많은 복구 비용이 필요하고, 상당 기간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는 40만대 가량 생산 감소를 기록하고 있다. 피해 지역 농업과 수산업은 상당 부분이 재기 불능 상태에 빠졌다. 2차대전 이후 최악이라는 상황에 대응해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수십조엔이라는 사상 최대 규모의 유동성 공급에 나서고, 미국과 유럽도 외환시장 불개입이라는 원칙을 깨고 엔화의 안정성 유지를 도왔다.
하지만 경기 재침체(더블딥)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을 막지는 못했다. <니혼게자이신문>이 11개 민간 기관으로부터 얻은 경제성장률 평균치는 1~3월이 -0.6%, 4~6월이 -2.6%다. 시설 파괴와 함께 얼어붙은 소비 심리도 큰 숙제다. 최대 백화점그룹인 미쓰코시 이세탄홀딩스의 3월 매출은 전년보다 28.5%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 경기회복의 청신호를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대체적 예상이다. 문제는 언제까지 추락할지다. 복구 수요가 생산과 투자를 자극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희망적 관측도 나온다. 1995년 고베 지진 뒤에는 그 지역 총생산이 지진 전 수준을 뛰어넘은 바도 있다. 일본은행은 지난 7일 빠른 복구를 위해 특별자금 1조엔을 피해지역 은행들에 공급하기로 했다.
시라카와 마사키 일본은행 총재는 “공습 사슬 문제가 해결되면 세계경제의 강한 성장세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며 낙관론을 펴기도 했다. 일본 정부에서는 연간으로는 플러스 성장이 가능하리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반면 방사능 유출 사태가 장기화하면 경기 회복도 그만큼 더뎌질 수밖에 없다. 지금은 미국과 중국, 유럽 등 주요 경제권의 상황이 나쁘지 않아 세계경제 전반이 일본 경제와 동반 추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본의 침체가 장기화하면 자동차와 전자 등 일본 업체와 공급 사슬로 연결된 업종부터 압박을 견디기 어렵게 된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