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자체들이 15년 전부터 서로 맺어온 ‘재해응원협약’이 이번 대지진 복구작업에 쏠쏠한 힘이 되고 있다. 이 협약은 대규모 재해가 발생했을 때 여러 지자체나 민간사업자들이 서로 도울 수 있도록 맺은 것으로 1995년 한신대지진 이후 활성화됐다.
<기민보>는 15일 와카야마현과 오사카부가 이와테현을 중심으로 지진피해지역에 지원활동을 활발히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간사이광역연합에 속해 있는 오사카부와 와카야마현은 범정부적인 지원과는 별도로 직접 물적 인적 지원에 나섰다. 이미 7차례 모포나 식품 등 구호물자를 보낸 것을 비롯해 공중위생의와 보건사, 심리치료사까지 파견했다.
미야기현 시오가마시에는 재해협약을 맺고 있는 야마가타현 무라야마시가 손을 내밀었다. 무라야마시는 재해 다음날인 12일 쌀과 물을 가득 실은 트럭을 시오가마시로 보냈고, 모포 2500장은 역시 재해응원협약을 맺고 있는 니가타시로부터 지원받아 보냈다.
미야기현 타가조시는 같이 붓꽃을 ‘시화’로 정한 인연으로 야마가타현 나가이시와 협약을 맺었는데, 이번 지진으로 하수도가 제역할을 못하던 고충을 나가이시에서 지원해준 청소차로 해결할 수 있었다고 <가호쿠신보>가 전했다.
오사카부, 효고현, 사가현, 교토부 등 간사이 지방의 7개 광역지자체는 지난해 12월에 전국 처음으로 간사이광역연합을 결성했으며 독자 예산과 사업계획을 운영하고 있다. 1995년 한신대지진 피해를 겪은 이들은 직원 250여명을 이번 지진피해지역에 파견해 과거 경험을 살려 피해 확산을 막고 복구지원 활동도 벌이고 있다.
지난해 4월 기준으로 일본의 지자체중 90%에 달하는 1571곳이 재해상호지원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