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매카시 교수, NYT에 기고
“과거 아닌 인권·여권의 문제
일본이 여성권리 보호자 돼야”
“과거 아닌 인권·여권의 문제
일본이 여성권리 보호자 돼야”
일본의 아베 신조 새 내각이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인정한 1993년 ‘고노 담화’를 부정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저명한 외교전문가가 일본이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기고문을 <뉴욕 타임스>에 실었다.
메리 매카시 미국 드레이크대 교수는 1일 이 신문에 보낸 기고문에서 일본의 역사인식 후퇴 경향을 비판하며 이런 흐름이 일본과 다른 나라들이 원만한 관계로 지내는 데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위안부 문제는 인권과 여성권리의 문제이며 일본은 ‘여성권리의 보호자’로 거듭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네덜란드 여성의 사례를 앞세우며 대부분이 한국인이고 중국인, 일본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등 다양한 국적을 가진 20만명의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을 수십년 만에 겨우 인정한 ‘고노 담화’마저 번복될 위기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위안부 문제는 “일본의 외교나 미국의 전략적 이익 또는 역사의 문제만은 아니다. 오늘날 세계의 무력충돌 지역과 다른 위험한 곳에 있는 여성과 소녀의 실제 상황과 뗄 수 없는 관계로 이어져 있다”고 강조했다.
매카시에 따르면 미 하원이 2007년 일본에 위안부 문제를 인정하고 사과하라고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을 때 위안부 문제는 “여성의 권리와 인권의 문제”로 재구성됐다. 위안부 문제는 이후 세계적으로 폭넓은 지지를 받았는데 여성이 인신매매로 고통받는 현실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매카시 교수는 세계의 인신매매 피해자가 240만명이며 이 가운데 80%가 성노예로 착취당한다는 유엔 자료를 인용하면서 보스니아나 콩고민주공화국 같은 내전이 벌어진 나라에서는 성폭행과 성매매 강요를 포함한 성폭력이 끊임없이 일어난다고 전했다. 즉 위안부 문제의 해결은 전세계적인 성폭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되는, 기본적인 인권의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아베 신조 총리의 현 정부에서 위안부 문제의 해결에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일본을 “인권의 보호자, 권리를 빼앗긴 이들의 옹호자”로 만들어 일본 젊은이들에게 국가적 자부심을 불어넣고 성노예와 전쟁 성폭행 문제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게 할 기회는 아직도 남아 있다고 당부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비밀주의 관행이 낳은 쪽지예산…친박 등 여야 실세 ‘수혜’
■ “민주당 책임” “문재인 책임”…야권 대선패배 원인놓고 격론
■ 법륜스님 “이기는 선거, 문재인 단일화로 졌다”
■ 김태희 연인 ‘비’, 복무규율 위반 ‘특혜’ 논란
■ 제주 해녀 86% 진통제 먹는다
■ [기고] 작가들 가슴에 불지르지 말라 / 박범신
■ “한·일 친미보수 집권, 미국 무기수출 호기”
■ 비밀주의 관행이 낳은 쪽지예산…친박 등 여야 실세 ‘수혜’
■ “민주당 책임” “문재인 책임”…야권 대선패배 원인놓고 격론
■ 법륜스님 “이기는 선거, 문재인 단일화로 졌다”
■ 김태희 연인 ‘비’, 복무규율 위반 ‘특혜’ 논란
■ 제주 해녀 86% 진통제 먹는다
■ [기고] 작가들 가슴에 불지르지 말라 / 박범신
■ “한·일 친미보수 집권, 미국 무기수출 호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