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총회서…국제적 논란 예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6일 뉴욕 유엔총회에서 여성 인권을 강조하며, 분쟁지에서 여성 성폭력 피해자 등을 돕는 국제기금에 일본이 기여하겠다는 뜻을 밝힐 예정이라고 <산케이신문>이 23일 보도했다. 옛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고, 사죄와 배상에도 나서지 않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비춰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이 국제사회에서 나올 것으로 보인다.
<산케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일반연설에서 할 연설의 개요를 파악했다며 아베 총리가 연설의 절반 이상을 ‘여성과 인권’이란 주제에 할당할 것이라고 이날 전했다. 신문은 이어 아베 총리가 “분쟁지 여성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국제기금을 내겠다”는 뜻을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성’과 ‘인권’은 올해 유엔총회의 논의 주제다.
<마이니치신문>은 앞서 22일 “아베 총리가 유엔총회 연설에서 국제형사재판소(ICC)의 피해자 신탁기금에 이바지하겠다고 약속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이를 위해 내년 예산에 1억엔을 편성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니치신문>은 아베 총리의 연설에 대해 “옛 일본군 위안부 문제로 일본의 이미지가 더 이상 나빠지지 않도록, 여성의 인권 향상을 위해 적극 노력하는 모습을 호소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실제 위안부 문제를 대하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어, 아베 총리의 연설은 논란을 부를 가능성이 크다.
아베 총리는 옛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문서로 된 증거가 없다는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유엔의 고문금지위원회가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 등의 위안부 망언과 관련해 ‘정부 당국자나 공인이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부정하거나, 이를 통해 피해자에게 거듭 상처를 주는 일이 없도록 일본 정부가 반론하라’고 권고한 데 대해서도 아베 정부는 “유엔 권고는 법적 구속력을 갖는 것이 아니고, 따를 의무가 없다”는 견해를 지난 6월 각료회의 결의로 채택한 바 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관련기사] 우익단체, 위안부 증언장 앞 ‘행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