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동원 경위 오류 문제삼아
‘고노 담화’ 정당성 흔들기 나서
‘고노 담화’ 정당성 흔들기 나서
일본 <산케이신문>이 1993년 일본군 위안부 동원에 군이 직접 간여했음을 인정한 ‘고노 담화’의 근거가 된 한국인 위안부 여성의 증언에 신빙성을 의심할만한 문제점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산케이신문>는 16일 고노 담화의 근거가 된 한국인 위안부 여성 16명에 대한 A4 13장 분량의 조사 보고서를 입수해 보니, 13명은 자신의 출신지를, 3명은 자신의 이름을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증언에 참여한 한 피해 여성은 1993년 7월 이뤄진 일본 정부의 조사에선 “양언니에게 ‘영장’(근로정신대의 영장으로 보임)이 나와 대신 갔다”고 말했지만, 그에 앞서 이뤄진 안병직 전 서울대학교 교수의 조사 때는 “공장에 가면 돈을 벌 수 있다고 해 속았다”고 증언했다. 이를 근거로 신문은 “이 증언은 역사 사료로 사용되기 힘든 것”이라며 “고노 담화의 정당성도 뿌리부터 흔들리게 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를 두곤 증언을 배척할 이유라기보다는 고령자를 상대로 몇십년 전 이뤄진 경험을 채취하는 ‘구술 조사’의 한계로 보는 게 옳다는 지적이 많다. 학력 수준이 낮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증언에 다소의 모순이 있더라도, 이를 당시의 역사적 사실에 비춰 확인하고 검증하는 일은 연구자의 몫이라는 것이다. 1934년 조선총독부의 조사 자료를 보면, 당시 조선인 여성들의 문맹률(한글과 일본어 모두를 읽지 못하는 이들의 비율)이 92%다. 실제 고노 료헤이 관방장관은 당시 자민당 연구모임에서 “여성들의 증언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는 사람이 있는 것을 알지만, 적어도 피해자가 아니면 도무지 알 수 없는 증언들이 있다”며, 위안부 동원에 군이 직접 간여했음을 인정한 담화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고노 관방장관과 함께 담화를 주도한 이시하라 노부오 전 관방부장관은 <산케이신문> 인터뷰에서 “내용이 이렇다면 (담화의 전제가 된) 증언의 신빙성이 흔들린다”고 주장해 논란이 예상된다. 이 발언은 고노 담화의 수정을 끈질기게 요구해 온 일본 보수 세력의 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