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 인상 전 사자’ 매장 인산인해
교통요금 등 줄줄이…서민들 한숨
교통요금 등 줄줄이…서민들 한숨
“사려면 지금!” 30일 일본 도쿄 고토구에 자리한 대형마트 ‘이토요카도’ 매장. 주말이면 쇼핑객들로 북적이는 1층 식품 코너는 이날 평소보다 두어배나 많은 인파로 장사진을 이뤘다. 4월1일 소비세가 5%에서 8%로 오르기 전 마지막 주말을 맞아, 막판 사재기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는 쇼핑객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매장에는 ‘당장 구입’과 ‘특별 할인’ 등으로 소비자를 유혹하는 전단지들이 빽빽이 붙어 있고, 샴푸·휴지·생수·세제 등 생필품을 가득 담은 카트들은 서로 엉켜 갈 길을 못 찾았다. 일본에 살고 있는 한국 여성들의 정보교환 마당인 네이버 ‘일본맘’ 카페(cafe.naver.com/japanmama)에도 소비세 인상을 앞두고 사재기에 나선 사연들이 쏟아지고 있다.
일본 언론들도 17년 만의 소비세 증세를 앞둔 다양한 풍경들을 앞다퉈 소개했다. <마이니치신문>은 30일 ‘한숨의 봄’이라는 1면 톱기사에서 소비세 3%포인트 증세로 줄줄이 오르는 생필품, 공공요금 가격을 소개했다. 안 그래도 비싼 도쿄 택시의 기본요금은 710엔에서 730엔으로, 도쿄 공영버스 요금은 200엔에서 206엔으로 오른다. 규동(쇠고기 덮밥)의 경우 최대 체인인 요시노야는 한 그릇을 280엔에서 300엔으로 올렸다.
가장 많은 불만이 쏟아지는 것은 서민들의 출근길을 책임지는 지하철 요금이다. 도쿄의 교통카드인 ‘스이카’나 ‘파스모’를 이용할 경우 제이아르(JR) 히가시일본의 도쿄-요코하마 구간 편도 요금은 450엔에서 464엔으로 오르지만, 현금으로 표를 사면 470엔이 된다.
영세 중소기업들의 발등에는 불이 떨어졌다. 대기업들이 납품가를 맞추기 위해 소비세 증세분을 영세업체들에 떠넘길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전국에 600명 규모의 전가대책조종사관제를 도입해 부당한 세금 전가를 요구 받는 중소기업들을 돌보기로 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번 소비세 인상의 충격이 커지면 ‘아베노믹스’(대규모 금융완화를 뼈대로 한 아베 정권의 경제정책) 도입 1년을 맞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향후 정국 운영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