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중-일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외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입장 변화가 없는 한 쉽게 성사되진 않을 전망이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간부가 이달 중순께 베이징을 방문해 슝보 중국 외교부 아시아국 부국장과 회담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마이니치신문>이 24일 보도했다. 이 회담에선 11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 때 중-일 정상회담을 개최했으면 좋겠다는 일본 정부의 희망을 중국에 전한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했다. 앞서 이하라 준이치 일본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지난 1일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간 회담을 마친 뒤 쿵쉬안여우 중국 외교부 아시아국장과 만난 바 있다.
그러나 아베 일본 총리가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관련해 중국이 납득할 만한 입장을 밝히지 않는 한 정상회담 성사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중일우호협회 회장을 맞고 있는 탕자위안 전 중국 국무위원은 23일 베이징을 찾은 야마사키 타쿠 전 자민당 부총재에게 11월 중-일 정상회담 개최는 “현 시점에서는 어렵다. 하고 싶으면 (일본이) 지혜를 짜내야 한다”고 말했다. 탕 전 국무위원은 이날 중-일 관계의 악화 원인으로 야스쿠니신사 참배 등 역사 문제,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등 영토 문제는 물론 집단적 자위권 행사 등 다양한 현안을 언급했다고 <지지통신>이 전했다. 슝 부국장도 이달 중순 일본 외무성 관계자에게 “아베 총리가 다시는 야스쿠니 참배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총리는 지난 14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11월 정상회담을 하고 싶다”고 말하면서도, 당일 공개된 <마이니치신문>과의 인터뷰에선 야스쿠니 참배 문제에 대해 “언급을 피하겠다”며 애매한 태도로 일관했다. 중-일 정상회담의 필요성은 인식하면서도 아직 야스쿠니 참배와 관련한 신념을 꺾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