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학습지도요령 개정 통해
일본사 ‘필수’ 노려 세계사와 통합
아베 총리 “애국교육 강화” 반영
일본사 ‘필수’ 노려 세계사와 통합
아베 총리 “애국교육 강화” 반영
일본 정부가 고등학교에서 일본사를 필수 과목으로 가르치기 위해 일본사와 세계사를 통합한 ‘근현대사’ 과목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강조하는 ‘애국 교육’을 위한 조처로 풀이된다.
<산케이신문>은 17일 문부과학성 당국자를 인용해 2016~2017년 학습지도요령 전면 개정에 맞춰 근현대사 과목을 신설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일본의 역사 교육은 초·중학교 때 사회과에서 일본사를 중심으로, 고등학교에선 세계사를 중심으로 가르치고 있다. 그 때문에 고등학교 일본사와 지리는 선택 과목이다. 학생과 교사의 부담을 늘이지 않으면서 고등학교 일본사를 필수 과목으로 만들기 위해 현행 ‘세계사A’와 ‘일본사A’를 근현대사로 통합하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일본 정부가 일본사 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아베 총리가 목소리를 높여온 ‘자학사관 탈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그동안 침략과 식민지배의 역사를 반성해 온 교육 탓에 학생들이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잃어버리고 있다며, 자학사관을 버리고 일본인의 자긍심을 심는 애국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집권 1기 때인 2006년 일본 교육의 헌법이라 불린 교육기본법(1947년 제정)을 개정해 애국심 교육을 강화했고, 지난 1월엔 교과서 집필기준인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를 개정해 독도와 센카쿠열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임을 못 박도록 했다. 이어 ‘교과서 검정기준’도 바꿔 교과서에 영토나 역사 문제를 다룰 땐 반드시 ‘정부의 통일된 견해’를 따르도록 의무화했다.
<산케이신문>도 이번 조처의 배경에 대해 “지난 전쟁에 대해 중국과 한국의 일본에 대한 비판이 강화되고 있는 중에 메이지 시기 이후 일본의 근대화 과정을 배우도록 해 국제사회에서 자신의 입장을 확실히 주장할 수 있는 일본인을 육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내용을 반영한 초·중학교의 학습지도요령은 2016년, 고등학교는 2017년에 개정된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