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도쿄에서 8회 한중일 외교장관회의 개최
주목했던 3개국 정상회의 일정은 잡지 못해
북핵 문제 등에 대해선 공조 의지 재확인 성과
주목했던 3개국 정상회의 일정은 잡지 못해
북핵 문제 등에 대해선 공조 의지 재확인 성과
한·중·일 3개국이 북핵 문제 등의 대응을 위한 3개국 협력 틀의 중요성과 협력 방침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그러나 관심을 모았던 정상회의 개최에 대해선 “연내 개최를 위해 협력한다”는 원칙을 되풀이했을 뿐 구체적인 일정을 확정하진 못했다.
윤병세 외교장관, 왕이 중국 외교부장,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24일 오전 11시 도쿄 미나토구 외무성 이쿠라 청사에서 제8회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열었다.
회담 직후 진행된 발표에서 기시다 외무상은 “지난해 3월 서울에서 열린 일·중·한 정상회의에서 3국 간 협력 틀의 완전한 회복, 회의 정례화라는 성과를 얻었다면 이번 만남은 그 성과를 구체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윤병세 장관도 “3국 장관은 한·일·중 3국 협력 체제 발전이 양자 관계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남중국해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로 험악해진 중-일과 사드 배치로 어색해진 한-중이 ‘3개국 협력’이라는 명분으로 얼굴을 마주한 것 자체가 외교적 ‘성과’라는 인식이다.
3개국 외교장관은 북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해서도 연대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다시 확인했다. 기시다 외무상은 “북한이 오늘 아침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로 보이는 것을 발사했다. 오늘 회의에서 3개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주도하고, 북한에 대해 도발행동을 자제하고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강하게 요구해갈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관심을 모은 것은 왕이 외교부장의 발언이었다. 그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에 대한 직접 언급은 피하면서도 “중국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반대한다. 또 한반도 정세를 고조시키는 말과 행동에 반대하고 유엔 안보리 제재에 어긋나는 모든 행동에 반대한다. 한반도 비핵화,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한반도 정세의 안정은 중국의 일관되고 확고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오후 ‘3개 반대, 3개 견지’라는 제목의 별도 자료에서 △한반도 핵·미사일 개발 프로세스 △한반도 형세를 긴장시키는 말과 행동 △안보리 결의 2270호를 위반하는 모든 행동에 ‘반대’하고, △한반도의 비핵화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지지’한다는 원칙을 밝혔다.
도쿄 베이징/길윤형 김외현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