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인민군 제525군부대(총참모부 작전국) 직속 특수작전대대 전투원들의 ‘청와대 타격’ 전투훈련을 참관하고 있다. 11일 이 사진을 보도한 조선중앙통신은 촬영 장소와 일시를 밝히지 않았다. 평양/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남북이 지난해 8월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폭발 사건 이후 반짝 이어졌던 대화 국면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도 검토했다고 일본 <아사히신문>이 25일 복수의 남북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해 9월 지뢰 폭발 사후 처리를 위해 이어진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북한이 유감을 표하며 10월 이산가족 상봉까지 이어진 바 있다. 신문은 “당시 한국 정부 내에서 금강산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현대아산 직원들을 2016년 1월께 방북시키는 안이 올라왔고,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당시 직함)도 이를 승인하는 남북합의서에 사인했다”고 전했다. 당시 한국 정부는 미국에게 북핵 개발과 관련된 북한의 의사를 “한번만 더 확인해 줄 것”을 요청해 미 정보 당국이 9월 북한을 방문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북한은 미국에게 병진노선을 견지한다는 생각을 강조하는 등 핵 개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강조했고, 또 비슷한 시기에 함경북도 풍계리에서 핵 실험 관련 움직임이 관찰됐다. 이 정보는 그해 10월 미국을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에게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전달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결국 이로 인해 금강산 관광 재개와 관련한 남북간의 협의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보도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그해 12월 열린 남북당국회담에서 북쪽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이산가족 문제와 연계시켜 ‘동시 추진, 동시 이행’을 주장했다”며 “우리 쪽은 이산가족 문제는 성격이 다르니 금강산 관광만 따로 다룰 실무회담을 개최하자고 제안했지만, 북쪽이 관광 재개를 선결조건으로 내걸고 호응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정인환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