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부산 대학생겨레하나 회원들이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에 세워진 소녀상에서 소녀상 지킴이 발대식을 하고 있다. 부산/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일시 귀국 조치 중인 주한 일본 대사의 귀임 문제에 대해 한국측의 반응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19일 보도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이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총리 관저에서 한일 갈등 상황에 대해 논의했으며, 한국 측의 대응을 끝까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따라 주한 일본대사의 귀임도 당분간 보류하게 됐다고 전했다. <아사히 신문> 역시 일본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한국 쪽의 자세에 변화가 없으니 일본 측이 먼저 움직일 필요성이 없다”는 데에 뜻을 함께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18일에도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상 사무차관을 만나는 등 지난 이틀간 부산의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와 주한 일본 대사 일시 귀국 조치에 대한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대사의 일시 귀임을 늦춘다는 방침을 정한 만큼, 일시 귀국 조치기간도 처음 예상됐던 열흘 안팎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9일 부산의 일본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 대사와 모리모토 야스히로 부산 총영사를 일시 귀국 조치했다. 이후 열흘이 넘도록 귀임 발표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이날 귀임을 보류하겠다는 방침이 세워지면서 일본 대사의 귀국 기간은 2012년 무토 마사토시 주한 일본대사 귀임때보다 더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일본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에 대한 항의로 무토 대사를 일시 귀국시켰으며, 귀임까지 총 12일이 걸렸다.
한편,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위안부문제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는 것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 영사관 앞에 위안부(소녀)상이 설치돼 극히 유감”이라고 밝히며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