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영사관 앞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
부산 소녀상 설치에 항의하기 위한 일본 정부의 ‘보복 조처’가 시행 한달째를 맞으면서 한-일 관계가 더 이상 악화되어선 안 된다는 일본 언론의 주문성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보도가 전제하는 것이 부산 소녀상 강제철거 등을 포함한 한국 정부의 ‘구체적 행동’이어서 관계 악화가 쉽사리 해소되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일본 보수의 정서를 대변하는 <요미우리신문>은 9일 ‘소녀상 철거를 향한 행동이 보이지 않는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일한관계가 더 한층 악화되지 않도록 한국은 위안부 문제의 합의(12·28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구체적인 행동을 취해야 한다”며 “소녀상 설치는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 또는 불가역적인 해결’과 서울 소녀상 철거에 대한 한국 쪽의 노력을 명기한 2015년 12월 일한합의의 정신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는 부산 소녀상 설치에 항의하기 위해 지난달 9일 나가미네 야스마사 대사의 ‘일시 귀국’ 등 4개 항목의 보복 조처를 시행한 바 있다. 한국이 소녀상 철거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보여주지 않는 한 나가미네 대사의 귀국 등 한-일 관계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일본의 조처는 기대할 수 없다는 사실상의 ‘경고’인 셈이다.
그러나 일본 언론들도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등 한국 정세를 고려할 때, 한국 정부가 일본이 기대하는 조처를 취할 가능성이 낮음을 인식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한-일 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잡을 수 없는 ‘출구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일본이 조정 중인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전망도 서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도쿄신문>도 “박 대통령 스캔들로 약체화된 한국 정부에게 움직일 여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