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아베 신조(오른쪽 2번째) 일본 총리와 부인 아키에(오른쪽)가 베트남과 태국 순방길에 나선 아키히토 일왕 내외를 전송하고 있다. 도쿄/AFP 연합뉴스
일본의 집권 자민당 당원 수가 8년 만에 다시 100만명대로 올라섰다.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은 28일 도쿄 자민당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16년 자민당 당원이 전년보다 5.7%(5만7000여명) 늘어난 104만3790명”이라고 밝혔다. 자민당 당원은 만년 여당인 자민당이 일본 정치를 이끌어 온 ‘55년 체제’가 깨지기 직전인 1991년 54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급감해 2009년 9월 민주당에게 정권을 내주고 야당으로 전락한 뒤인 2012년에는 73만명까지 줄어든 바 있다. 그러나 아베 신조 총재가 2012년 12월 중의원 선거에서 민주당(현 민진당)을 대파하고 정권을 탈환한 뒤 당원 수도 조금씩 회복세를 보여왔다. 자민당은 앞으로 당원 수를 120만명까지 늘여갈 계획이다.
자민당이 탄탄한 지지를 얻고 있는 것은 디플레이션 장기화, 막대한 국가부채, 중국 부상으로 인한 안보 위협 등 일본을 둘러싼 산적한 난제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오랜 국정 경험을 지닌 자민당 밖에 없다는 ‘대안 부재’ 심리 때문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지난달 27일 여론조사 결과를 봐도 자민당 지지율은 46%를 기록한 반면, 제1야당인 민진당 지지율은 9%에 머물렀다.
그러나 자민당 독주 부작용으로 지적되는 ‘아베 1강’ 체제에 대해선 경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아베 총리가 추진하던 안보 관련법 개정에 반대 입장을 내세워 화제를 모았던 당내 중진 무라카미 세이치로 의원은 지난달 말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현재 당 집행부는 자유로운 토론을 허용하지 않는다. (자유민주당이 아니라) 부자유민주당”이라고 꼬집었다.
<아사히신문>은 지난달 27일 아베 1강 체제 원인에 대해 자민당 소속 국회의원들의 구성과 96년 처음 도입된 소선거구제를 꼽았다. 현재 자민당에 속한 중·참 양의원 414명 가운데 아베 총리 밑에서 처음 당선된 초·재선들의 비율은 40%를 넘는다. 또 96년 도입된 소선거구제 탓에 아베 총리의 신경에 거슬리는 움직임을 보이는 의원들은 당선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자민당 공천’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자민당은 5일 당대회를 열어 당 총재 임기를 현행 ‘2기 6년’에서 ‘3기 9년’으로 바꾸는 당규 개정안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그렇게 되면 아베 총리의 임기는 최장 2021년 9월까지 늘어나게 된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