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대 명예교수. <한겨레> 자료 사진
일본 내 한국 연구의 권위자인 오코노기 마사오(72) 게이오대학 명예교수는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와 북한의 ‘비핵화’ 의지 표명 뒤 일단 북-미 대화가 진전되면 일본도 대화 기조를 따라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7일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그는 일본인 납치 피해자 문제도 북-일 대화의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핵과 미사일 발사 실험을 계속해온 북한이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선 이유는.
“북한은 ‘벼랑끝 전술’을 펼치면서 핵무력 완성 선언을 했으니 올해부터는 대화로 나서는 게 당초 계획이었다. 한편으로는 지난해 가을부터의 경제제재의 압력 효과도 있었다고 본다.”
-일본 정부의 앞으로 예상되는 움지임은.
“일본은 북한에 최대한의 압력을 계속해야 한다는 게 기본 정책이다. 하지만 일본의 영향력에는 한계가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권이 북-미 대화를 받아들이는 형태가 되면 일본도 대화 기조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현재 일본은 북한과 미국의 움직임을 지켜볼 수 밖에 없고, 미국과 한국에 대화에 신중하라고 계속 외칠 것이다. 그런데 일본에는 납치 문제가 있다. 만약 북한이 납치 문제 해결을 포함한 북-일 국교 정상화를 제안한다면 일본이 거부하기는 어렵다. 일본도 납치 피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본이 북한과의 대화를 받아들일수 있는 최소한의 선이 있을까
“일본 정부는 미국이 자국만 생각할까봐 경계하고 있다. 즉 미국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선에서만 교섭한다면, 일본은 북한과 독자적으로 교섭에 나서지 않으면 안된다. 일본은 북-미 교섭 때 북한의 미사일 사정거리에 대해서 한반도 동남쪽까지로만 제한해야 한다고 본다. 만약 일본의 뜻대로 되지 않으면 일본의 입지는 약해진다. 트럼프 정부는 이제 북-미대화에 응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응하지 않는다면 남북 양쪽을 다 적으로 만들 수 있다. 북한은 지금까지 문재인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위해 노력했는데 이제 트럼프 정권의 관심을 사기 위해 모든 것을 할 것이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