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TV에 “북-일 정상회담 실현되면 좋겠다”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돼야 한다는 전제는 여전
북한 “이미 해결된 문제 제기 치졸한 추태”
트럼프-아베, 북-미 정상회담 전후 회담 추진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북-일 정상회담과 국교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비교적 강하게 밝혔다. 남북과 북-미의 해빙 국면에서 배제되지 않겠다는 의지를 뚜렷이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아베 총리는 11일 <후지티브이>에 출연해 “북-일 정상회담이 실현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북-미, 남북 정상회담만 하면 된다고 판단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북-일 국교 정상화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요청에 응해 올바른 길을 가는 데 있어 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북한의 개방 과정에서 일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한 발언이다.
아베 총리는 이어 “북-일 정상회담은 납치 문제 해결로 연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단지 한번 만나 이야기를 하는 것만으로 좋은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우선은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해 핵·미사일 문제 해결이 진행돼야 한다”고 했다. 비핵화와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관계 정상화 조건으로 여전히 고수한 것이다.
아베 총리는 김 위원장이 4·27 남북 정상회담 때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해 ‘왜 일본은 우리에게 직접 이야기하지 않는가’라고 말했다는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 대해, “베이징(대사관)을 통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과 물밑에서 접촉하고 있다는 뜻으로 들린다.
북한은 아베 총리의 발언에 냉랭한 반응을 보였다. <조선중앙통신>은 12일 논평에서 “오늘의 시점에서 일본 반동들이 이미 해결된 ‘납치 문제’를 또다시 꺼내 들고 여론화하려는 것은 국제사회가 일치하게 환영하고 있는 한반도 평화 기류를 한사코 막아보려는 치졸하고 어리석은 추태가 아닐 수 없다”고 비난했다.
아베 총리는 북-미 정상회담 직전과 직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일본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시키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교도통신>은 북-미 정상회담 전인 다음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때 아베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직후 일본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외교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일 직후 한국도 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일본 정부 내에서는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이후 북-일 정상회담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방일은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일본의 지지를 구하려는 것”이라고 전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관련 영상] 한겨레TV | 냉전해체 프로젝트 ‘이구동성’